“동맹이라 믿고 샀는데 한국만 호구?” …미국 갑질에 구멍 난 전력, ‘특단의 대책’이 설마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한국 해군이 한국산 어뢰 통합 추진 중
  • 미국의 납품 지연으로 전력 공백 우려
  • P-8 초계기의 국산 무장 통합 불발

한국 해군은 전력 공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산 ‘청상어’ 어뢰를 MH-60R 시호크 헬기에 통합할 계획이다.

  • 미국의 우선 지침으로 납품 지연
  • 국산 ‘청상어’ 경어뢰가 다양하게 운용
  • P-8 초계기에는 국산 무장 통합 불발

한국 해군은 작전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공중 전력을 도입 중이다. 그러나 어뢰 납품 지연으로 전력 공백이 우려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국산 ‘청상어’ 경어뢰를 MH-60R 시호크 헬기에 통합할 계획이다.

‘청상어’는 미국, 영국 등에 이어 세계 7번째로 개발된 수중 유도무기체계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운용 가능하다. 그러나 P-8 초계기에는 국산 무장 통합이 비용 문제로 불발되었다.

  • 청상어 어뢰의 성능과 운용 플랫폼 설명
  • 미국의 미군 탄약 우선 확보 지침으로 납품 지연
  • P-8 초계기의 무장 체계 통합 불발 이유
  • 국산 무장 체계 통합의 중요성
어뢰 납품 지연에 전력 공백 우려
한국산 어뢰 통합으로 문제 해결
초계기는 국산 무장 통합마저 불발
청상어 어뢰
MH-60R 시호크 / 출처 : 시코르스키

우리 군이 현존 최강의 해상 작전 헬기 MH-60R 시호크에 한국산 무장 체계 ‘청상어’ 경어뢰를 통합할 예정이다.

현재 한국 해군은 MH-60R 시호크를 비롯하여 다수의 공중 전력을 도입해 작전 역량을 증대하려 하고 있으나 어뢰 도입 지연으로 인해 전력 공백 우려가 나오고 있었다.

미국 지침으로 인한 어뢰 납품 지연

청상어 어뢰
MH-60R 시호크 / 출처 : 시코르스키

해군 측 발표에 따르면 한국은 미국으로부터 도입한 해상 작전 헬기와 초계기에 장착할 어뢰도 계약을 체결한 상황이다. 그러나 미국은 ‘미군 탄약 우선 확보 지침’을 이유로 우리 군에 납품해야 할 어뢰를 미루고 있다.

이 때문에 지금으로서는 적의 군사 도발이 발생하더라도 무장 체계를 확보하지 못한 전력들은 작전 공백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P-8A 포세이돈
P-8 / 출처 : 보잉

이에 우리 해군은 우선 도입할 수 있는 30여 발을 획득해 장착하는 한편 국산 무장 체계인 청상어 어뢰를 해상 작전 헬기에 통합하는 방법으로 작전 공백을 해결하겠다고 밝혔다.

또한 이러한 무장 체계 통합은 MH-60R 시호크를 제작하는 방산업체 시코르스키 측에서 먼저 한국에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국산 어뢰 통합으로 전력 공백 해결될까?

전 세계에서 7번째로 경어뢰 독자 개발

청상어 어뢰
청상어 어뢰 / 출처 : 연합뉴스

한국이 개발한 청상어 경어뢰는 미국과 영국, 독일, 이탈리아 등에 이어 전 세계에서 7번째로 개발에 성공한 수중 유도무기체계다.

청상어는 능동형 소나를 장착해 적 잠수함을 탐지 및 추적할 수 있으며 1.5m 두께의 철판을 관통할 수 있는 탄두를 활용해 잠수함을 격침한다. 또한 청상어는 길이 2.7m, 무게 280kg 수준의 크기에 최고 속도는 시속 45노트(약 85km)에 육박한다.

여기에 청상어는 수상함과 잠수함, 해상작전헬기 등 다양한 플랫폼에서 운용할 수 있어 적 함정을 타격하는 우리 군의 핵심 무장 체계로 운용되고 있다.

앞서 한국은 MH-60R 시호크 이전에 도입했던 AW159 와일드캣에서도 청상어를 체계 통합해 운용한 바 있다.

💡 ‘청상어’ 경어뢰란 무엇인가요?

‘청상어’ 경어뢰는 한국이 독자 개발한 수중 유도무기체계로, 다양한 플랫폼에서 운용 가능하며 적 잠수함을 탐지 및 격침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길이 2.7m, 무게 280kg
  • 최고 속도 시속 45노트
  • 1.5m 두께의 철판 관통 가능

P-8 초계기는 국산 무장 통합 불발

P-8A 포세이돈
P-8 / 출처 : 보잉

하지만 MH-60R 시호크와 달리 P-8 초계기에는 국산 무장 체계 통합이 불발되었다. 한국은 미국 측에 P-8의 청상어 체계 통합을 의뢰했지만 미국 측에서 1,000억 원 수준의 비용을 요구해 체계 통합이 무산되었다.

이 때문에 P-8은 잠수함 킬러라는 별칭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일부 작전에 차질이 우려된다. P-8은 어뢰뿐만 아니라 대함 미사일과 폭탄 등 각종 공격 자산을 장착할 수 있고 우수한 탐지 자산을 탑재해 대잠 초계 임무에 있어 핵심 자산으로 평가받는다.

우리 해군은 앞서 관함식과 국군의 날 기념행사 등에서 P-8 초계기를 국민들에 선보였으나 100%의 작전 수행을 위해서는 어뢰 확보를 더욱 서둘러야 할 것으로 보인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국산 어뢰 통합으로 전력 공백 해결될까?
해결될 것이다 88%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12% (총 8표)

관심 집중 콘텐츠

뱅가드급 잠수함

“1,175일 이상 작전 불가” …대영제국의 ‘최악 실태’에 전 세계 충격, 어쩌다가 이 지경이

더보기
K-9 자주포

“우리 아들들 더는 죽일 수 없어” …전 병력 중 고작 10%, 8년째 제자리걸음에 ‘분통’ 터져

더보기
러시아 잠수함

그렇게나 ‘경고’했는데 “미꾸라지처럼 빠져나가” …미국·독일 나서자 ‘충격적 결과’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