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미 해군 항공모함 트루먼함, 상선과 충돌
- 수리 지연으로 외형 파손 상태 지속
- 미 조선업의 정비 역량에 의문 제기
미 해군 항공모함 트루먼함이 상선과의 충돌 사고 이후 외형 수리가 완료되지 않아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 충돌 사고는 올해 2월에 발생
- 현재 파손 부위가 여전히 노출
- 미 해군의 조선업 정비 능력에 의구심
미 해군 항공모함 트루먼함이 2월 상선과 충돌한 이후 아직 수리가 완료되지 않았습니다. 이로 인해 미 해군의 정비 능력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충돌 당시 큰 피해는 없었으나 외형 수리가 지연되었습니다. 최근 기념행사에서 트루먼함의 파손 부위가 다시금 화제가 되었습니다.
- 미 해군은 전문적인 수리 계획 발표
- 미 조선업의 쇠퇴로 인해 정비 지연 가능성
- 반면, 내부 복구는 완료되었을 가능성
상선과 충돌한 미 해군 항공모함
수리되지 않은 외형 모습 포착
미 조선업의 정비 역량에 의구심

상선과 충돌해 전 세계를 놀라게 만들었던 미 해군 항공모함이 아직도 외형 수리가 완료되지 않은 모습이 포착되어 화제가 되고 있다.
‘트루먼함’은 지난 2월 선박과의 충돌 사고 이외에도 항모에서 출격한 함재기가 아군에 의해 격추당하거나 다른 함재기가 착륙 도중 바다로 추락하는 등 잦은 사고로 구설에 올랐던 항공모함이다.
올해 2월 발생한 항공모함 충돌 사고

미 해군의 항공모함 ‘트루먼함’이 상선과 충돌한 사고는 올해 2월 발생했다. 트루먼함은 지난해 12월부터 홍해에서 순양함과 구축함의 호위를 받아 작전을 수행 중이었다.
그러나 트루먼함은 올해 2월 요르단에서 출발해 흑해 항구로 들어가던 선박과 충돌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다행히 충돌로 인한 침수나 부상자는 발생하지 않았으며 항공모함의 동력원인 원자로에도 별다른 이상은 발생하지 않았었다.
다만 미 해군 함정이 상선과 충돌하는 사고는 매우 드문 일이며 해당 사고 역시 2017년에 이어 7년 만에 발생한 사고로 전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킨 바 있다.
💡 트루먼함의 충돌 사고가 왜 중요한가요?
트루먼함의 상선과 충돌 사고는 드문 사건으로, 미 해군의 정비 역량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습니다.
- 미 해군 항공모함의 충돌 사고는 7년 만에 발생
- 조선업 역량 쇠퇴로 정비와 보수 지연 문제
해군 현수막으로 가려놓은 파손 부위

트루먼함은 선박과의 충돌 사고 직후 일시적인 정비 작업을 거쳐 곧바로 해상 작전에 복귀했다. 당시 미 해군은 트루먼함이 그리스에서 긴급 수리 작업을 거친 후 정상적인 작전을 수행 중이라 발표했다.
하지만 최근 해군 창설 250주년 기념행사에 등장한 트루먼함은 여전히 파손 부위가 눈에 드러나 현수막으로 긴급히 가려놓은 모습이었다.
해당 기념행사에는 트루먼함이 배경으로 자리한 상태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이 기념 연설을 진행했으며 이때 현수막으로 가려놓은 파손 부위가 현지 언론을 통해 공유되며 트루먼함의 파손된 외관 사진이 그대로 전해졌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미 해군의 정비 능력에 의구심이 드는가?
미 해군의 정비 능력에 대한 의구심

미 해군은 이번 사진이 공개된 직후 전문적인 수리 작업을 통해 이를 해결할 계획이라 밝혔다. 트루먼함은 미 조선소에 입항해 원자로 연료 재공급을 비롯해 상당한 규모의 수리와 성능 개량 및 현대화 작업을 복합적으로 받게 될 예정이다.
미 해군은 이 과정에서 손상된 외형 부분도 정비 작업을 통해 완벽하게 수리하겠다는 계획이다. 그러나 미 해군이 8개월 이상 사고 부위를 방치한 것을 두고 일각에선 미국의 함정 정비 역량에 대해 의구심을 품는 시선도 존재한다.

현재 미국은 조선업 역량의 쇠퇴로 인해 신규 함정의 건조와 기존 함정의 정비 및 보수가 계속해서 지연되고 있으며 이 때문에 트루먼함의 사고 부위 정비도 지금까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을 수 있다는 해석이다.
반면 또 다른 한편에선 손상 부위가 함정 운용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파손되었기 때문에 외형과 달리 항공모함 내부는 작전에 차질이 없는 선에서 충분히 복구되어 있을 것이라 바라보는 시각도 존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