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북한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는 한국의 현무 미사일.
- 현무 시리즈의 다양한 파생형 존재.
- 지상 및 해군에서의 다양한 운용 가능.
북한의 미사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한국은 다양한 현무 미사일 시리즈를 개발하고 있습니다.
- 현무-Ⅱ는 기본 탄도 미사일로, 사거리와 명중률이 향상되었습니다.
- 현무-Ⅲ는 순항 미사일로, 긴 사거리와 적 방어 회피 능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현무-Ⅳ는 해군용으로, 함대지 및 잠수함 발사 미사일로 활용됩니다.
북한이 미사일을 통해 한국에 안보 위협을 가하자, 한국은 현무 미사일 개발로 대응하고 있습니다.
현무 미사일은 다양한 파생형이 존재하며, 각 시리즈는 고유의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 현무-Ⅱ는 탄도 미사일로 사거리와 명중률이 개선되었습니다.
- 현무-Ⅲ는 순항 미사일로 개발되어 긴 사거리와 방어 체계 회피 능력을 지닙니다.
- 현무-Ⅳ는 해군용 미사일로, 함대지 및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로 사용됩니다.
- 이러한 체계는 적의 방어를 회피하고 전략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한국 안보 위협하는 북한 미사일
한국은 현무 미사일 개발로 대응
특성에 따라 다양한 파생형 존재

북한이 열병식을 통해 다수의 미사일을 공개하며 한국에 대한 안보 위협을 시도하자 반대로 우리 군이 보유한 미사일 체계에도 많은 관심이 쏠리고 있다.
특히 한국이 보유한 현무-Ⅴ는 8톤 이상의 탄두 중량을 앞세워 100m 내외의 관통력을 확보한 것으로 유명하며 우리 군에는 이외에도 다양한 현무 시리즈가 존재한다.
미사일의 기본 전력을 맡은 현무-Ⅱ

현재 한국이 보유한 현무 시리즈 중 현무-Ⅰ은 현재 퇴역한 상태이며 이에 따라 현무-Ⅱ가 사실상 현무 시리즈의 기본이나 다름없는 상황이다.
현무-Ⅱ는 사거리에 따라 현무-ⅡA부터 현무-ⅡC까지 개발되었으며 트레일러 이동 방식의 현무-Ⅰ과 달리 현무-Ⅱ는 발사 차량에 미사일을 직접 싣는 방식을 사용한다.
또한 현무-ⅡA는 사거리가 300km, 탄두 중량이 500kg에 불과했지만 한미 미사일 사거리 지침의 개정을 거치며 현무-ⅡB는 사거리 500km, 현무-ⅡC는 사거리 800km 이상을 달성하며 발전시켜 왔다.
이 밖에도 현무-Ⅱ는 미사일의 명중률을 나타내는 공산 오차도 5m 이내로 형성되어 타국의 경쟁 미사일 대비 정밀한 타격이 가능하다는 장점도 보유하였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현무 미사일 개발이 안보에 효과적일까?
순항 미사일로 재탄생한 현무-Ⅲ

한국이 개발한 현무 미사일은 공통적으로 탄도 미사일의 형태로 개발되었지만 예외적으로 현무-Ⅲ는 순항 미사일로 개발되었다.
순항 미사일은 탄도 미사일보다 비행 속도가 느린 대신 엔진과 날개를 이용해 추진력과 양력을 얻을 수 있으며 저고도 비행이 가능해 적의 방어 체계를 회피할 수 있다.
현무-Ⅲ는 A형이 500km의 사거리에 불과했지만 현무-ⅢC가 개발되면서 사거리를 1,500km까지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현재 한국이 보유한 다른 현무 시리즈보다 훨씬 우수한 사거리이며 제주도를 기준으로 북한의 끝자락인 회령까지의 직선거리가 약 1,000km인 만큼 이론적으로 현무-ⅢC가 타격하지 못할 북한 지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 현무 미사일 시리즈는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현무 미사일 시리즈는 다양한 파생형을 통해 한국의 안보를 강화하는 무기 체계입니다.
- 현무-Ⅱ는 기본 탄도 미사일로, 사거리와 명중률이 발전되었습니다.
- 현무-Ⅲ는 순항 미사일로, 긴 사거리와 방어 회피 능력을 보유합니다.
- 현무-Ⅳ는 해군용으로, 함대지 및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로 활용됩니다.
해군 화력의 핵심으로 거듭난 현무-Ⅳ

우리 군이 보유한 현무 시리즈 중에서 현무-Ⅳ는 다소 독특한 이력을 가지고 있다. 현무-Ⅳ는 파생형에 따라 지대지 탄도 미사일인 현무-Ⅳ-1 이외에도 함대지 탄도 미사일과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 등이 존재한다.
정조대왕함 등 수상함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함대지 탄도 미사일인 현무-Ⅳ-2는 탄두 중량이 약 1톤이며 사거리는 500km 정도로 알려졌다.
또한 잠수함 발사 탄도 미사일인 현무-Ⅳ-4는 도산 안창호급 잠수함과 장영실급 잠수함 등의 수직 발사관을 이용해 운용할 수 있으며 탄두 중량과 사거리는 모두 현무-Ⅳ-2와 동일한 수준이다.
이처럼 수상함이나 잠수함에서 운용할 수 있는 탄도 미사일은 지상에 배치된 미사일 시설과 달리 적이 정확한 위치를 파악하기 어려워 사전에 발사 플랫폼을 제압하는 것이 어려우며, 반대로 우리 군은 적의 추적을 피해 미사일 공격이 가능하다는 전략적 이점을 확보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