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슬로바키아, K-2 전차 후보 제외
- 경전차 도입으로 방향 전환
- 한국 방산 새 전략 필요
슬로바키아가 K-2 전차를 최종 후보에서 제외하고 경전차 도입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 슬로바키아는 오토카르와 BAE 시스템즈의 모델을 선택
- 예산 부족으로 경전차 도입 검토
- 한국 방산은 새로운 전략이 필요
슬로바키아가 K-2 전차의 도입을 최종 후보에서 제외하고 경전차 도입을 검토하게 된 배경입니다.
슬로바키아는 구소련 시절의 T-72M1 전차를 대체할 필요가 있었으나 예산 문제로 경전차로 눈을 돌렸습니다.
- 오토카르의 튤파르와 BAE 시스템즈의 CV90-120이 최종 후보로 선정
- 슬로바키아는 폴란드와의 협력에도 불구하고 K-2PL 도입 무산
- 경전차는 비용 면에서 주력 전차보다 저렴
- 한국 방산은 동유럽 국가를 대상으로 새로운 전략 필요
K-2 슬로바키아 수출 무산
구소련 전차 교체 작업 시도
예산 부족으로 경전차 선회

폴란드에 이어 K-2 전차의 진출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되었던 슬로바키아가 최종 후보에서 한국을 제외했다는 안타까운 소식이 전해졌다.
Defense Mirror 등 해외 군사 매체를 통해 전해진 소식에 따르면 슬로바키아 국방부 측은 최종 후보로 오토카르의 튤파르와 BAE 시스템즈의 CV90-120을 선정했으며 레오파르트2A8과 K-2는 제외되었다고 밝혔다.
K-2PL의 추가 수출 가능성 무산

당초 K-2 전차의 슬로바키아 진출 가능성에 관심이 쏠렸던 이유는 슬로바키아가 폴란드 현지에서 생산되는 K-2PL에 관심을 드러냈기 때문이다.
슬로바키아는 지난 2월 폴란드와 무기 구매를 위한 협력 의향서를 체결했는데 이 과정에서 폴란드가 생산할 K-2PL도 언급되었다.
K-2PL은 폴란드군의 작전 요구 성능에 맞춰 하드킬 능동방어장치와 드론 재머 등을 추가한 개량형이며 슬로바키아는 폴란드가 생산할 K-2 전차를 도입하면 납품 기간을 단축하고 후속 군수 지원이 용이할 것으로 판단했다.
여기에 폴란드가 지난 여름 K-2 전차 2차 계약을 체결하며 현지 생산 물량 등을 확정하자 국내에선 이를 기반으로 K-2 전차가 슬로바키아 등 다른 동유럽 국가에도 추가 수출될 수 있다는 기대감을 품었으나 이번 발표로 인해 이러한 기대는 무산되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슬로바키아의 경전차 도입 결정은 적절할까?
신형 전차 104대로 전력 강화 시도

현재 슬로바키아의 주력 전차는 구소련 시절 개발된 T-72M1이다. T-72 계열의 전차는 1970년대 초반 등장한 이래 저렴한 가격을 앞세워 소련의 영향을 받은 동구권 국가들과 국방 예산이 부족한 제3세계 국가들에게 대량으로 수출되었다.
또한 T-72는 125mm 활강포를 탑재하고 자동 장전 장치를 활용해 군사 훈련 수준이 빈약한 나라들에서는 나름대로 우수한 전력으로 활약했다.
하지만 충분한 성능 개량이 이뤄지지 못해 1990년대부터는 서방 전차들에 비해 성능 한계가 뚜렷했으며 여러 전장에서 격파되는 빈도가 증가하자 강철의 과부 제조기나 불타는 소련제 전차 등의 굴욕적인 별명을 얻기도 했다.
이에 슬로바키아는 증대되는 러시아의 군사적 위협 속에서 T-72M1을 대체할 신형 전차를 최대 104대까지 구입하는 사업을 추진해 왔다.
💡 슬로바키아가 K-2 전차를 제외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슬로바키아는 예산 부족으로 인해 K-2 전차 대신 경전차 도입을 검토하게 되었습니다.
- 경전차는 주력 전차보다 도입 및 유지 비용이 저렴합니다.
- 슬로바키아 국방부는 예산 한계를 고려하여 경전차와 장갑차 모델을 평가했습니다.
예산의 한계로 경전차 도입 선회

그러나 충분한 전차 도입 예산을 지원받지 못하자 슬로바키아 국방부는 도입 단가와 유지·보수 비용이 저렴한 경전차로 눈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
일례로 최종 후보에 선정된 CV90-120은 CV90 장갑차를 기반으로 120mm 주포를 장착한 모델이다. 차체의 베이스가 장갑차인 만큼 K-2나 레오파르트2에 비해 성능이 떨어지지만 이러한 경전차는 도입 단가가 일반적인 주력 전차에 비해 40~50%가량 저렴하다.

이 밖에도 슬로바키아 국방부는 105mm 주포를 장착한 튀르키예의 여러 장갑차 모델도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으며 스웨덴과 튀르키예 모두 필요시 슬로바키아 현지 생산도 적극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이에 국방 예산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동유럽 국가들을 공략하기 위해서는 한국 방산도 새로운 전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1전차 중고로 팔자 팔고 그돈에 더 보태서 K2 추가 도입해서 울나라전차 K2로 깔맞춤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