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사회 현실 수치로 입증
소득 계층 변화 34.9% 불과
양극화 심화와 저출산 문제

“사는 게 왜이리 힘들까요”, “이번 달도 월급만으로는 턱없이 부족하네요.”
통계청이 17일 발표한 ‘2017∼2022년 소득이동 통계’에 따르면 한국인 10명 중 2명도 채 되지 않는 사람만이 소득 계층 상승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른바 ‘수저 계급론’으로 대변되는 한국 사회의 현실이 수치로 입증된 것이다.
“진입은 하늘의 별 따기, 떨어지면 끝없는 나락”…양극화 심화되는 대한민국

통계청이 발표한 소득이동 통계를 살펴보면, 2022년 기준 전년 대비 소득 계층이 변화한 사람은 34.9%에 불과했다.
이는 2년 연속 하락한 수치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계층의 ‘자리 지키기’ 현상이다. 5분위 계층은 무려 86%가 같은 위치를 유지했으며, 한번 진입하면 좀처럼 하락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 심각한 것은 빈곤층의 현실이다.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계층의 69.1%가 다음 해에도 같은 처지를 벗어나지 못했다.
특히 노년층의 경우 1분위 유지 비율이 39.8%로, 한번 빈곤에 빠지면 벗어나기가 극히 어려운 것으로 드러났다.
교육열의 그늘…”희망고문에 지친 젊은층”

한국의 높은 교육열은 OECD 국가 중 최고 수준의 고등교육 이수율(69.8%)로 이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높은 교육 수준에도 불구하고 계층 이동의 사다리는 점점 더 불안정해지고 있다.
청년층(15~39세)의 소득 이동 비율이 41%로 가장 높긴 하지만, 이는 불안정한 일자리 이동이 많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기도 하다.
통계를 자세히 들여다보면 더욱 암울한 현실이 드러난다. 2017년 1분위였던 사람들 중 31.3%는 5년이 지난 2022년에도 여전히 같은 위치에 머물러 있었다.
반면 2017년 5분위 계층 중 63.1%는 5년 동안 그 자리를 지켰다. 이는 한국 사회의 계층 이동성이 점점 더 경직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단적인 예다.
심화되고 있는 양극화, 주요 원인 중 하나는 ‘저출산’

한편, 코로나19 팬데믹은 이러한 양극화를 더욱 심화시켰다. 2020년에는 65세 이상 여성의 경우 상향 이동 비율이 8.7%에서 7.6%로 감소한 반면, 하향 이동 비율은 11.4%에서 12.5%로 증가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상이 저출산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고 지적한다. “가난을 자식에게 물려주기 싫다”는 젊은 세대의 고민이 출산 기피로 이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2022년 소득 상승을 경험한 사람들 중에서도 22%는 상승 폭이 10% 미만에 그쳤다는 점은 실질적인 삶의 질 개선이 미미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비혼ㆍ혼족은 앞으로 대세가 될 것이다
그냥 혼자 살다 가는것
2찍들 때문에
좌좀들..
좌빨들과 민주당이 원하는 사회주의 낙원 ㅋㅋ
민주당의원 40% “헌법에서 자유 삭제해야”
찢 “중국이 뭘하든 셰셰~하면 된다”
국민이 좌경화로 급전향하면서 하향 평준화로 진행중이다. 기업도 부자도 더 이상 투자를 하지 않고 젊은이들도 미래에 희망이 불확실하기 때문에 출산을 두려워 한다.
그래서 망한 것이다. 좌파 독재 대한민국!
극우 왜구 좀비들 때문에…나라가 거덜났다
대통령이란 자가 국민을 대표하는 국회를 무력으로 점거 점거하다니…
ㅋㅋㅋㅋㅋㅋ ㅋㅋㅋ ㅋㅋ ㅋㅋㅋ ㅋㅋㅋ ㅋㅋㅋ
세금 노예. 적폐. 대상 애 놓지마라 완장 찬 넘들만 키워라. 나머지는 노예다
소득주도성장은 가난한 사람은 더가난해짐.기업은. 채용을 자꾸줄임.로봇.이제는 인공지능으로 현장에서는 흔히 보는 셀프주문.셀프코너도 인건비 줄임.죄인넘미. 만든 소득주도가 이제는 국가경쟁력을. 잃어감
저출산 같은 소리하고 자빠졌네 병신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