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주 때나 된다고?” 부모들 청천벽력…”우리 애는 어떡해” 대체 무슨 일?

댓글 50

서울 집값 10억 돌파…대출도, 저축도 막막
상위 10%만 집 살 수 있는 구조 고착화
청년층 절망 확산…출산·결혼 포기한다
서울 집값 10억 돌파
출처 : 게티이미지뱅크

서울의 주택 평균 매매가격이 10억원을 넘어섰다. 숫자 하나가 바뀌었을 뿐인데, 수백만 서민들의 삶이 통째로 흔들리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521만원이다. 1년으로 계산하면 6,252만원을 번다.

만약 이 돈을 한 푼도 쓰지 않고 고스란히 저축한다면 서울 평균 주택 한 채를 사는 데 16년이 걸린다. 아파트는 더 비싸서 21년이 필요하다.

하지만 이는 현실과 동떨어진 계산이다. 실제로는 세금, 보험료, 생활비를 빼면 저축할 수 있는 돈이 월 130만원에 불과하다.

서울 집값 10억 돌파
출처 : 연합뉴스

이 돈으로 13억원짜리 아파트를 사려면 83년이라는 어마어마한 시간이 필요하다. 현재 30대가 돈을 모으기 시작해도 그들의 손주가 장성해서야 집 한 채를 마련할 수 있다는 말이다.

집값 앞에서 막힌 대출, 무의미한 내 집 마련 꿈

저축이 현실적이지 않다면 대출은 어떨까. 서울 대부분 지역은 투기과열지구로 묶여 있어 LTV가 50%로 제한된다.

LTV는 주택담보대출비율을 뜻하는데, 집값의 절반까지만 대출받을 수 있다는 의미다. 13억원 아파트를 사려면 6억5천만원이라는 천문학적 현금을 먼저 마련해야 한다.

이 돈조차 대출로 해결하려 한다면 월 상환액만 337만원에 달한다. 평균 가구 소득의 65%를 오로지 대출 갚는 데만 써야 하는 셈이다.

서울 집값 10억 돌파
출처 : 연합뉴스

설상가상으로 DSR 규제까지 발목을 잡는다. 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은 개인이 보유한 모든 대출의 연간 원리금 상환액이 연 소득의 일정 비율(예: 40%)을 넘지 않도록 제한하는 제도다.

앞서 계산한 조건을 만족하려면 연 소득이 최소 1억원은 넘어야 한다. 결국 전체 인구의 상위 10%에 해당하는 고소득자만이 대출 자격을 얻을 수 있다. 나머지 90%는 아예 시작조차 할 수 없는 게임에 내몰린 것이다.

이런 현실은 사회 전체의 구조를 바꿔놓고 있다. 서울의 집값은 이제 경제적 지위를 가르는 절대적 기준이 되었다.

서울 집값 10억 시대, 청년은 결혼·출산마저 포기했다

집을 소유한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 사이의 자산 격차는 평균 7억원에 이른다. 이는 강남과 강북 아파트 가격 차이와 거의 일치하는 수준이다. 태어난 곳에 따라, 부모의 경제력에 따라 미래가 결정되는 구조가 고착화되고 있는 것이다.

서울 집값 10억 돌파
출처 : 연합뉴스

가장 심각한 문제는 청년층의 절망이다. 내 집 마련이 불가능해지자 이들은 결혼을 미루고, 출산을 포기하며, 자녀 계획 자체를 접는다.

주거 불안정이 인생 전체의 불안정으로 확산되면서 개인의 삶뿐 아니라 사회의 지속가능성까지 위협하고 있다. 부동산이 더 이상 개인의 자산 문제가 아니라 국가 전체의 미래를 좌우하는 변수가 된 셈이다.

서울 주택 평균가 10억원 시대. 이 숫자는 차가운 통계표의 한 줄이 아니다. 매일 아침 지하철을 타고 출근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짊어진 무거운 현실이다.

집 한 채가 인생을 통째로 바꿔버리는 이 시대에, 주거 안정이라는 최소한의 권리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사회로 나아가야 할 때다.

5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50

  1. 내집 마련에 목메달 하고 살지말고 월세 살면서
    금융문맹 탈출했어 연금부자로 은퇴하고 삽시다.
    내집에 평생 빚갚다 끝난다.

    응답
  2. DSR 규제로 서민과 청년층은 금융사각지대에
    놓여 집을 살수없는 구조가 되었음.
    대부분의 수도권과 지방 부동산시장이 처참하게
    침체되면서 나라 경제도 바닥으로 추락했음.
    해결의 열쇠는 정부만이 가지고 있음.

    응답
  3. 상속 증여세 폐지해라
    그나마 증여해줄 여력있는 부모들은 자녀에게 증여 해서 집사고 결혼하는데 보탬을 줘야한다

    응답
  4. 오르는 사이 주인바뀐집이 몇퍼나 되지? 반값으로 떨어져도 대부분 실피해없어. 나라 멸종되기전에 되돌려라. 중국인 구매제한하고 상호규제 해야지. 우리가 호구냐.

    응답
  5. 언제적 얘기를 이제와서…서울 공화국이란말이 괜히 나온줄 아나? 어차피 앞으로의 세상은 있는 인간들 위주로 모든것이 이루어질것이다.중산,서민은 없다.양반과 상놈만있을뿐….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