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가격 2021년 최고점 수준까지 회복
주택 구입, 전셋값 부담 양극화 심화

“서울에서 아파트 한 채 사려면 10년을 안 쓰고 모아야 한다고 생각하니 막막하네요”
지난해 서울 아파트 가격이 반등하며 전 고점인 2021년의 99% 수준까지 회복하며 양극화가 더 심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서울 아파트값, 2021년 고점 수준 회복

지난 27일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2023년 서울 아파트 매매가는 3.3㎡당 평균 3861만 3000원으로, 2021년(3885만 5000원)의 99.4%에 도달했다고 발표했다.
매매가는 2021년 최고점을 찍은 후 2022년과 2023년 연속 하락했으나, 지난해 6.9% 상승하며 빠르게 회복했다. 특히, 3월 이후 40주 연속 상승했지만, 12월 마지막 주에는 보합세를 보이며 주춤한 모습을 보였다.
한편, 수도권 아파트 매매가는 전년 대비 4.5% 오른 3.3㎡당 2319만 9000원이었지만, 2021년(2515만 4000원)의 92.2% 수준에 그쳤다.
서울 아파트값 상승의 주요 원인은 신축 아파트 선호 현상인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해 12월 기준, 서울 5년 이하 신축 아파트 가격은 1월 대비 7.8% 올랐으나, 같은 기간 전국 아파트 상승률은 1.6%, 수도권은 3.39%에 그쳐 서울과의 차이를 보였다.
서울 주택 구입 부담 양극화 심화

서울 아파트값 상승으로 주택 구입 부담도 여전히 크다. 지난 28일 KB부동산에 따르면, 지난해 9월 서울의 소득 대비 집값 비율(PIR)은 9.8로 나타났다.
이는 중위 소득 가구가 9.8년간 소득을 모두 모아야 중간 가격대 주택을 살 수 있다는 의미다.
2024년 1월 이후 PIR은 10 안팎을 유지했으며, 3분기에는 9.78~9.82로 다소 하락했지만 여전히 부담이 크다.
저소득층(1분위)은 중간 가격대 주택을 사려면 26.37년, 고가 주택은 86.39년이 필요하다. 반면, 고소득층(5분위)은 중간 가격 주택을 4.73년, 고가 주택을 14.2년 만에 구입할 수 있어 소득별 주거 부담 차이가 극명하게 나타났다.
전셋값도 상승…J-PIR 5.47 기록

또한, 아파트 가격 상승과 더불어 전셋값도 오르며 주거비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지난해 9월 기준 서울의 소득 대비 전세가격 비율(J-PIR)은 5.47로, 전년(5.25) 대비 0.22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중위 소득 가구가 5.47년간 소득을 모아야 서울의 중간 가격 전셋집을 마련할 수 있다는 뜻이다.
전셋값 상승은 대출 규제와 고금리로 매매 수요가 전세 시장으로 이동하면서 발생한 것으로 분석된다. 전문가들은 “서울 아파트값이 계속 오르면서 매수 여력이 부족한 수요자들이 전세 시장으로 몰려 전셋값도 상승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주택 구입뿐만 아니라 전세 계약을 위한 자금 마련 부담도 커지고 있어, 실수요자들의 주거비 부담이 지속될 전망이다.



















그놈의 여보는 무슨 맨날 찾냐…? 부동산 투기질 하는 사람들 수준.
그래 기자야 열심히 사라
언론이 이렇게 호도해대닟ㅊ ㅊ
네이버는 검증을 해라. 지금 싯점에 무슨 말도 안되는 기사는 올리지 말도록.
아직, 정신못차렸다
계~속 내려야돼!! 강남에 아파트 한채가 3억에 거래될때까지…… -.,-
썩은언론이 나라를 망친주범
웃기고 있네 용쓴다
헛소리
정치권과경제정책입안하느럼들이아파트투기천국으로몰고가고있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