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력으로 승부하더니 “카카오도 따라올 수 없다”… 웃음꽃 핀 ‘이곳’, 이유는?

독자 AI기술 개발에 앞장서 온 네이버
정부 국가대표 AI 선발전서 정예팀 선정
카카오·KT는 쓴맛 경험하며 탈락
네이버
네이버 AI / 출처: 연합뉴스

독자적인 AI 개발 경험이 국가 미래 기술의 운명을 가르는 분수령이 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정예팀 선정에서 네이버클라우드는 자체 기술력을 인정받아 최종 5개 팀에 이름을 올렸다.

독자개발 경험이 승부 가른 선정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지난 4일 ‘독자 AI 파운데이션 모델’ 정예팀 5개를 선정하며 네이버클라우드를 포함시키자 국내 IT 업계에 희비가 엇갈렸다.

한국 AI
네이버 AI / 출처: 연합뉴스

카카오와 KT는 정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K-AI‘ 인증을 받지 못하게 됐다.

이번 ‘국가대표 AI’ 선발전에서는 네이버클라우드를 비롯해 업스테이지, SK텔레콤, NC AI, LG AI연구원 등 5개 팀이 최종 선정됐다.

정부는 이들에게 1500억 원 규모의 그래픽처리장치(GPU), 628억 원 규모의 데이터, 250억 원의 인재 채용 비용 등을 지원할 예정이다.

업계에서는 이번 선정 결과를 가른 핵심 요소로 ‘독자적인 거대언어모델(LLM) 개발 경험’을 꼽고 있다.

네이버 매출 10조원 돌파
네이버 AI / 출처: 연합뉴스

실제로 카카오와 KT는 자체 개발보다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의 협력에 중점을 두었다. 카카오는 지난 2월 오픈AI와 전략적 제휴를 맺었고, KT는 마이크로소프트(MS)와 손잡고 AI 서비스를 추진해 왔다.

네이버, AI 풀스택 역량으로 앞서가

이러한 평가 기준에서 네이버가 두각을 나타낸 이유는 독자적인 기술력과 풍부한 개발 경험 때문이었다.

네이버클라우드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AI 기술 개발부터 서비스 구현까지 모든 과정을 자체 기술로 수행할 수 있는 ‘AI 풀스택’ 역량을 보유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네이버
네이버 AI / 출처: 연합뉴스

또한 사우디아라비아, 태국, 일본 등에서 소버린 AI를 구축한 경험도 갖추고 있어 K-AI 글로벌 수출 모델을 확립하는 데도 강점을 보이고 있다.

이번 사업에서 네이버는 언어·음성 기반 멀티모달 기술과 트웰브랩스의 영상 AI 기술을 결합해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 등 이종 데이터를 통합 이해·생성하는 옴니 파운데이션 모델을 개발할 계획이다.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클로바 기술총괄은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국내외 어디서나 활용 가능한 국가대표 AI 모델을 구현하고 글로벌 무대에서도 통하는 K-AI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밝혔다.

데이터와 GPU 확보가 관건

AI 주식 버블 경고등
네이버 AI / 출처: 연합뉴스

이제 선정된 5개 정예팀들은 6개월 이내 출시된 최신 글로벌 AI 모델의 95% 이상 성능을 갖춘 독자 AI 모델을 개발해야 한다.

과기정통부는 반기마다 평가를 거쳐 한 팀씩 탈락시켜 최종 2개 팀을 선발할 계획이다.

다만 AI 개발업계에서는 정부가 제공할 데이터 확보의 실효성과 GPU 자원의 적정 분배에 대한 우려도 나오고 있다.

데이터 공동 구매 비용이 100억 원에 그치고, 다음 평가가 12월로 5개월이 채 남지 않은 상황에서 구매 대상 데이터 제공업체가 확정되지 않았다는 점이 지적됐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프로젝트의 담대한 도전은 이제 시작이자 ‘모두의 AI’ 출발점이 될 것”이라며 “대한민국 AI 기업·기관들의 도약, 소버린 AI 생태계 확장을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고 언급했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