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가 현실로 “평생 모은 노후 자금인데”…선진국은 벌써 준비 끝? 앞으로 닥칠 ‘이 상황’

노인 5명 중 1명 시대, 500조 치매머니 급증
선진국은 이미 자산 보호 제도 체계화
한국, 관리 체계 미비…속도전에 시계는 뒷걸음
노인 자산 보호 제도
출처 : 연합뉴스

대한민국이 고령화라는 거대한 파도에 휩쓸리고 있다. 어느새 길거리 다섯 사람 중 한 명은 노인이 됐고, 머지않아 세 명 중 한 명이 ‘65세 이상’에 해당하는 세상이 다가온다.

그 속도는 일본, 독일, 프랑스, 미국 등 어떤 선진국보다도 훨씬 빠르다.

2018년 14%였던 고령 인구 비율은 단 7년 만인 2025년 20%를 돌파한다. 사회 시스템이 준비할 틈조차 주지 않는 속도다.

폭주하는 ‘치매 머니’…500조 원 자산의 행방은?

이 폭발적인 고령화의 그림자 아래, 또 하나의 거대한 변화가 조용히 진행 중이다.

노인 자산 보호 제도
출처 : 연합뉴스

바로 ‘치매 머니’라 불리는, 고령 환자들이 건강 문제로 직접 관리하기 어려운 막대한 자산이 새로운 사회적 과제로 떠오르고 있다. 2023년 기준 154조 원, 2050년에는 약 500조 원까지 불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부동산과 예금, 각종 금융자산이 모두 포함된 이 거대한 돈은 앞으로 누구의 손에, 어떤 방식으로 흘러가게 될까. 이런 고민은 한국만의 일이 아니다.

일본, 영국, 미국 등 이미 고령사회를 먼저 경험한 나라들은 각자 다양한 해법을 마련해 왔다.

일본은 1990년대부터 이 문제에 국가적으로 대응하기 시작했고, 2000년에는 ‘성년후견제도’를 도입해 판단력이 약해진 이들의 자산을 법원이 지정한 후견인이 맡아 관리할 수 있도록 체계를 갖췄다.

노인 자산 보호 제도
출처 : 연합뉴스

영국은 건강할 때 미리 대리인을 지정하고 국가가 이를 감독하는 ‘LPA’ 제도를 운영하고, 미국은 사적 계약을 통한 위임과 신탁 제도를 발전시켰다.

이런 시스템들은 금융 사기나 가족 간 분쟁을 막는 것은 물론, 무엇보다 본인 의사가 최대한 존중될 수 있도록 설계된다는 공통점이 있다.

속도전 벌어진 자산 관리…한국, 시간과의 싸움

그런데 한국은 어떨까. 치매 머니는 쌓이고 있지만, 정작 그 자산을 지키는 제도는 아직 출발선에 머물러 있다.

성년후견 같은 제도는 여전히 어렵고 낯설기만 하다. 최근 은행들이 유언대용신탁 등 치매 대비 상품을 내놓고 있지만, 여전히 ‘부자들만 쓰는 것’이라는 인식이 강하다.

노인 자산 보호 제도
출처 : 연합뉴스

정부도 이제야 ‘공공신탁’ 도입을 논의하며, 민간 신탁 시장 활성화 방안을 함께 모색하기 시작했다.

문제는 시간이다. 해외는 수십 년에 걸쳐 점진적으로 준비해온 반면, 한국은 그 압축된 고령화 속도에 뒤따라가기도 벅차 보인다.

이미 인구 구조가 급격히 변하는 동안 자산 관리의 사각지대는 넓어지고 있다. 지금과 같은 대응으로 충분할지, 더 큰 혼란이 닥치지 않을지 걱정이 커질 수밖에 없다.

앞으로는 단순히 제도 마련을 넘어, 실질적으로 누구나 안전하게 자신의 자산을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얼마나 신속하게 만들 수 있을지가 과제로 떠오른다. 더 늦기 전에 적극적인 관심과 준비가 필요해 보인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