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 535만 원 벌어도 소비는 줄었다
식료품·전기료 급등에 실질 지출 역주행
고소득층은 지갑 닫고, 저소득층은 빚 늘었다

한국 가정이 벌어들이는 돈이 늘었다. 올해 1분기 평균 가구 소득은 535만 원으로, 작년보다 4.5% 올랐다.
그런데 이상한 일이 벌어졌다. 돈을 더 벌었는데 오히려 가계 살림이 팍팍해진 것이다.
‘오른 건 월급이 아니라 물가’…실질 구매력 뒷걸음
핵심은 ‘실질 구매력’에 있다. 실질 구매력이란 물가 상승을 고려했을 때 실제로 살 수 있는 물건의 양을 뜻한다.
쉽게 말해, 월급이 10만 원 올랐는데 물가가 20만 원어치 올랐다면 실질적으로는 10만 원만큼 가난해지는 셈이다. 바로 이런 현상이 지금 벌어지고 있다.

물가가 소득보다 훨씬 빠르게 뛰었다. 식료품값, 전기요금, 월세 같은 꼭 필요한 비용들이 가차 없이 올랐다.
집에서 쓰는 전기요금만 해도 작년보다 20% 넘게 뛰었고, 마트에서 파는 생필품 가격도 연일 상승세다. 월급은 4.5% 올랐지만 생활비는 그보다 훨씬 많이 올라버린 것이다.
여기에 고금리가 한 방 더 먹였다. 은행 대출 이자가 오르면서 집이나 차를 산 사람들의 이자 부담이 급증했다.
매달 내야 하는 대출 이자만으로도 허리가 휘청거리니, 가계는 어쩔 수 없이 소비를 줄일 수밖에 없었다. 실제로 자동차나 옷 같은 비교적 덜 급한 물건을 사는 지출이 크게 줄었다.
“불안해서 못 써요”…꽁꽁 얼어붙은 소비심리

소비자들의 마음도 얼어붙었다. ‘소비자심리지수’라는 지표가 있는데, 이는 소비자들이 경제 상황을 어떻게 보는지 측정하는 도구다.
100이 기준선인데, 현재 이 수치가 100 아래에서 계속 맴돌고 있다. 이는 “더 쓰기엔 불안하다”는 국민 정서를 그대로 보여준다.
더 심각한 문제는 이 충격이 모든 계층에게 똑같이 오지 않는다는 점이다.
소득이 낮은 가정은 벌어들이는 돈이 줄었는데도 식료품이나 주거비 같은 생존 비용은 늘어나 줄일 여유조차 없다. 이들은 마치 구멍 뚫린 주머니처럼 벌어들이는 돈보다 더 많이 쓰고 있었다.

반대로 소득이 높은 가정은 돈을 더 벌었는데도 소비를 오히려 줄였다. 여유가 있을수록 더 신중해지는 아이러니한 현상이다. 부자는 더 부자가 되고 가난한 사람은 더 가난해지는 악순환의 고리가 만들어지고 있다.
소득만으론 부족…이젠 ‘체감 회복’이 과제
이런 흐름은 사회 전체의 균형을 흔든다. 소득 불평등이 다시 커지고 있고, 계층 간 소비 격차도 점점 벌어지고 있다.
“모두가 어렵다”는 말로는 현실을 제대로 설명할 수 없다. 어떤 사람은 허리띠를 졸라매지만, 어떤 사람은 허리띠 살 돈조차 없는 상황이다.
정부가 민생 안정 대책을 내놓았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은 아니다. 소득만 올리는 것으로는 부족하다. 실질 구매력을 지키고 소비 심리를 되살릴 방법이 필요하다.
가정 있고 애까지 있으면 지금의 대한민국에서는 절대 힘들다. 그리고 월급이 올랐다고? 결혼하고애낳고? 아무리 나라에서 해준다고 해도 한계가 있다.
세금도 큰폭으로 올랐지. 실질적으로 순수 수입은 줄어든셈 물가도 오르고
빙신들 그걸 이제야 알다니,
그와중에 세금 삥뜯고 뒷주머니 챙기는 청칫꾼 쉬키들 농간에 놀아나거쥐.
뭐 기본소득이 어쩌고,미니멈이 어쩌고, 노동자가 어쩌고…..
대기업 생산및 납품가 올려 팔아 지네들
돈잔치 공기업들 가격올려 돈잔치..ㅋㅋ
돈잔치 하려면 물건값 인상해야지
그래야 그놈들 돈놀이 ㅎ지. 결국 서민한텐
대기업과 공기업은 제 2의 고리업체 아닌감
암덩이 민노총탓이지 무조건 월급만 올리라는 생떼를 써댔으니 월급이 오르면 물가도 오른다는 걸 왜 모르나 오죽했으면 대기업들이 민노총에 학을 떼고 이주를 했을까
그래서 국회의원을 일할수있게 3만명 정도 무급봉사로 뽑아야 됩니다
웃기는 소리 하지마라. 식사비가 10,000원인데도 사람들이 바글바글하다.
식사비 1만원이면 싼 것 아닌가?
보통 다 1만5천원인데.
10,000이면 바글바글 할만하지 않나?
그동네가 어딘가?
축전하나 못받는 이유를 아시나요?
미국이 축전안보낸 국가를 검색해봐라~
나 쪽팔려서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