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만 왜 이래요?”…외국인 ‘최악의 불만 1위’, ‘100조’ 벌 기회 다 날린다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외국인 관광객이 한강에서 결제 문제로 불편을 겪고 있다.
  • 한국의 결제 인프라는 글로벌 표준에 뒤처진다.
  • 결제와 교통 시스템 개선이 시급하다.

한국의 결제 및 교통 시스템이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큰 불편을 초래하고 있습니다.

  • 외국인들은 한강공원에서 결제 오류로 인해 치킨을 주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비접촉식 결제가 대세인 세계 시장에서 한국은 뒤처져 있습니다.
  • 교통 결제는 독자 규격으로 외국인의 사용이 제한적입니다.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에서 결제 및 교통 시스템의 불편함을 겪고 있으며, 이는 K-관광의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결제 인프라는 글로벌 표준인 비접촉식 결제를 지원하지 않아 외국인들이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교통 시스템 또한 국내 독자 규격을 사용하여 외국인들이 쉽게 접근할 수 없습니다.

  • 외국인들이 한강에서 치킨을 주문할 때 결제 오류가 빈번합니다.
  • 세계 주요국은 비접촉식 결제가 보편화되어 있지만, 한국은 그렇지 않습니다.
  • 외국인들은 EMV 방식이 아닌 국내 교통 결제 시스템 때문에 불편함을 겪습니다.
  • 기존 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며, 서울시는 이를 위한 시도를 시작했습니다.
외국인, 한강서 치킨도 못 시키는 현실
결제·교통 막힌 K-관광, 100조 구호만 울린다
뒤늦게 움직이는 K-결제, 시스템 혁신 시급
외국인 불편 1위
출처 : 연합뉴스

서울 한강공원에서 외국인 관광객이 치킨 한 마리를 주문하려다 결제 오류로 포기하는 일은 낯설지 않다. 언어 장벽도, 앱 사용 미숙도 아니다.

단순히 결제가 되지 않는다. 카드가 인식되지 않고, 시스템은 멈춰 선다. 화려한 ‘K-관광 100조 원’의 구호가 현실 앞에서 무너지는 순간이다.

‘한강에서 치킨도 못 시키는 나라’… K-관광의 불편한 진실

정부는 매년 ‘관광소비 100조 원’, ‘방한 관광객 3000만 명’을 외치지만, 외국인들이 한국에서 가장 불편하다고 꼽은 건 교통(19.7%)과 결제였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한국 결제 시스템의 글로벌 표준화, 필요할까?

한류 콘텐츠와 음식, 문화가 세계를 사로잡았지만, 정작 한국 안에서는 외국인의 지갑이 쉽게 열리지 않는다.

외국인 불편 1위
출처 : 연합뉴스

문제의 중심에는 결제 인프라가 있다. 세계 주요국의 오프라인 결제 70% 이상이 비접촉식(EMV) 방식으로 이뤄지지만, 한국은 10%에 그친다. 애플페이나 구글페이 같은 글로벌 결제 서비스는 매장에서 인식되지 않거나 오류가 잦다.

이유는 구조적이다. NFC 단말기 보급률이 낮고, 교체 비용을 두고 가맹점과 카드사가 오랫동안 책임 공방을 이어왔다.

💡 왜 외국인 관광객들이 한국에서 결제가 어려운가요?

한국의 결제 시스템은 글로벌 표준과 다른 점이 많아 외국인들이 결제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한국은 비접촉식 결제(EMV) 방식의 보급률이 낮습니다.
  • 글로벌 결제 서비스인 애플페이나 구글페이가 잘 인식되지 않습니다.

여기에 삼성페이의 MST(마그네틱) 방식이 구형 단말기에서도 문제없이 작동해, 업주들은 굳이 새 기기를 들일 이유를 느끼지 못했다.

교통은 상황이 더 답답하다. 서울 지하철과 버스는 해외의 EMV 오픈루프 방식이 아닌 국내 독자 규격을 사용해 외국인이 비자나 마스터카드로 탑승할 수 없다.

외국인 불편 1위
출처 : 연합뉴스

대신 티머니 카드를 사야 하지만 해외 신용카드로는 충전도 불가능하다. 아이폰 이용자는 모바일 티머니조차 쓸 수 없다. 런던과 뉴욕이 이미 10년 전 해외 카드 한 장으로 대중교통을 이용하게 한 것과 대조적이다.

수수료와 규제 문제도 발목을 잡는다. 애플페이 도입 과정에서 카드사와 당국은 수수료 부담을 두고 대립했고, 교통 결제는 정산과 보안 등 기술적 제약으로 전환이 쉽지 않다.

뒤늦게 움직이는 K-결제… ‘한강 치킨’이 현실이 될 날은 언제쯤

그럼에도 변화는 시작됐다. 서울시는 EMV 오픈루프 결제 도입을 공식화했고, 일부 지하철역에는 해외 카드 결제가 가능한 시범 단말기가 설치됐다.

카드사들도 비접촉 단말기 교체를 서두르고 있다. 그러나 외국인 관광객이 체감하기에는 여전히 먼 이야기다.

외국인 불편 1위
출처 : 연합뉴스

‘K-콘텐츠’는 국경을 넘어 세계를 뒤흔들지만, ‘K-서비스’는 여전히 국경 안에 머물러 있다. 관광객이 “보고 가는 나라”를 넘어 “돈을 쓰고 싶은 나라”로 한국을 기억하게 하려면, 화려한 홍보보다 결제와 교통 같은 기본부터 바뀌어야 한다.

외국인이 한강에서 치킨을 주문할 수 있을 때, 비로소 ‘관광소비 100조 원’의 약속이 현실이 될 것이다. 지금 필요한 건 새로운 구호가 아니라 낡은 시스템을 바꾸려는 의지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한국 결제 시스템의 글로벌 표준화, 필요할까?
필요하다 88% 불필요하다 12% (총 8표)

관심 집중 콘텐츠

쿠쿠 글로벌 판매

삼성·LG도 아닌데…”한국인 다 쓴다” 소문 퍼지더니 해외서 ‘초대박’, “한류가 이 정도?”

더보기
버스 요금 인상

“이번주부터 싹다 오릅니다”…6년만에 ‘13% 인상’ 결단, 서민들 ‘발동동’

더보기
이건희 컬렉션 순회

평생 모은 보물 “전부 국민 품에”…해외도 경의 표한 ‘故 이건희 애국정신’ “감동”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