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5년 미국 거주 영주권자
한국 방문 후 억류
가족들 석방 요청

미국 영주권을 소지한 한국인이 한국 방문 후 미국 입국 과정에서 당국에 억류되는 사건이 발생했다.
35년간 미국에서 거주해온 40대 박사과정생이 동생 결혼식 참석차 한국을 다녀온 뒤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구금된 것이다.
김태흥씨는 텍사스 A&M대학에서 라임병 백신 연구를 진행하던 박사과정생으로, 5세에 가족과 함께 미국에 온 뒤 현재까지 미국에서 생활하며 영주권을 취득했다.
한국 방문 후 공항에서 갑작스런 구금

김씨는 지난달 초 남동생의 결혼식에 참석하기 위해 가족과 함께 한국을 방문해 2주간의 일정을 마치고 지난 21일 미국으로 돌아오던 중 샌프란시스코 국제공항 입국심사에서 억류됐다.
김씨의 어머니 샤론 리씨는 31일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가 마련한 온라인 기자회견에서 상황을 설명했다.
그는 작은아들로부터 “형이 이민국 사무실에 들어간 뒤 연락이 없다”는 말을 듣고 사실을 알게 됐다고 밝혔으며, 당국에서는 가족에게 별도 연락을 취하지 않았다고 했다.
김씨의 변호인에 따르면 김씨는 샌프란시스코 공항에서 일주일 넘게 구금된 후 최근 애리조나주 이민세관단속국 시설로 이송됐고, 현재는 연락이 닿지 않는 상태다.
과거 기소 이력이 억류 원인으로 추정

미 당국은 김씨 구금 이유를 공식 발표하지 않았지만 김씨가 2011년 소량의 대마초 소지 혐의로 기소된 전력이 문제가 된 것으로 보인다.
워싱턴포스트는 29일 세관국경보호국 대변인의 성명을 인용해 “영주권자가 신분에 어긋나게 마약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으면 출두 통지가 발령되고, 이민세관단속국과 구금 공간을 조정한다”고 보도했다.
김씨의 기소 시점이 영주권 취득 전후 언제였는지에 대해서는 변호인이 향후 이민법원 재판에서 쟁점이 될 수 있다는 이유로 답변하지 않았다.
변호인은 김씨가 샌프란시스코 공항 구금 당시 정식 수용시설이 아닌 창문 없는 좁은 공간에서 조사받았다고 전했다. 낮에는 햇빛을 보지 못하고 밤에는 침대 없이 의자에서 잠을 자야 했다고 설명했다.

미주한인봉사교육단체협의회는 김씨 석방을 위해 낸시 펠로시, 마이클 매콜, 영 김, 앤디 김 등 연방 의원들에게 도움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온라인 청원 운동도 진행하고 있다.
이 단체는 트럼프 행정부의 강화된 이민 정책으로 미국에서 부당한 대우를 받는 이민자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며 곤경에 처한 경우 도움을 요청할 수 있다고 안내했다.
미국은 얼렁뚱땅 넘어가는 나라가 아닌걸로 알고 있다. 미국서 살려면 법을 지켜가면서 살아야지.
우리도 미국인 추방하자…미국은 인디언땅을 빼앗아 살면서 텃세를 부리네…
우리나라법도 좀 더강하게 나아가야 된다 트럼프때문에 이런상황이 벌어지다니 대통령될 자격이 없다 우리도 미국읹두방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