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차도 바꾸면 최대 1,500만 원 지원
통학차량 1대당 1억 5천까지 보조
승용차도 혜택 확대…계층별 추가 지원

서울시가 하반기 전기차 보조금 지원을 본격화하며 친환경차 전환에 다시 속도를 올리고 있다.
지난 7월 16일부터 시작된 이번 보급 사업은 화물차와 어린이 통학차량 등 실생활에 밀접한 차량 중심으로 구성됐다.
서울시는 총 512대의 차량을 추가 지원하며, 지원 대상과 금액 모두 한층 현실적으로 설계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1억 5천만 원 통 크게 푼다… 어린이 통학차량 전기차 전환 가속
이번 지원책의 핵심은 ‘실용성과 긴급성’이다. 전기화물차는 차종에 따라 최대 1,350만 원까지 지원받을 수 있고, 여기에 제작사에서 자발적으로 50만 원을 할인하면 서울시가 동일한 금액을 추가로 보조해준다.

특히 택배용 차량의 경우, 기존 경유차를 폐차하고 교체하면 국비 기준 최대 150만 원의 인센티브도 덧붙여진다.
배달과 물류 현장에서 하루에도 수백 킬로미터를 주행하는 차량인 만큼, 전기화물차 전환의 파급 효과는 단순한 비용 절감에 그치지 않는다. 도시 전체의 공기 질 개선, 그리고 기후위기 대응이라는 서울시의 전략적 목적과 맞물린다.
어린이 통학차량도 눈여겨볼 대목이다. 상반기에 이어 하반기에도 12대를 추가 지원하며, 1대당 최대 1억 5,000만 원까지 보조금을 지급한다.
국비와 시비를 합친 금액으로, 사실상 차량 구입비 대부분을 지원하는 셈이다. 서울시 내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등 통학 차량을 운영하는 시설이라면 이번 기회를 눈여겨볼 만하다.

통학차량은 아이들의 안전과 직결된 만큼, 전기차 전환은 환경뿐 아니라 보건 측면에서도 의미 있는 변화로 연결된다.
다자녀·저소득층에 추가 혜택… 전기차 지원 더 넓어진다
승용차 지원도 여전히 진행 중이다. 최대 630만 원의 보조금 외에도 차상위계층과 다자녀 가구에게는 추가 지원이 제공된다.
특히 다자녀 가구는 자녀 수에 따라 최대 300만 원까지 국비 보조금을 더 받을 수 있어, 가족 단위 소비자에게 실질적인 혜택이 돌아간다.
보조금 신청은 차량 출고·등록 순으로 진행되며, 계약 이후 구매자는 보조금 제외 금액만 부담하면 된다. 행정적 절차는 제작사와 정부가 직접 처리하는 구조라, 소비자의 체감 진입장벽도 낮췄다.

다만 신청 자격은 서울시에 최소 30일 이상 거주 중인 개인 또는 법인에 한하며, 세부 내용은 환경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