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팰리세이드 브레이크 결함
현대차 미국서 집단소송 당해
의도적 은폐 의혹, 신뢰도 타격

현대차가 팰리세이드의 브레이크 결함을 사전에 알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소비자들에게 알리지 않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지난달 캘리포니아 연방 법원에 제기된 집단 소송에서 소비자들은 현대차가 의도적으로 문제를 은폐하려 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최첨단 안전 기능을 내세우며 홍보했지만 실제로는 위험한 결함을 숨겼다는 것이다.
사전 테스트에서 이미 발견된 치명적 결함

집단 소송 공소장에 따르면, 현대차는 2023-2025년형 팰리세이드의 브레이크 결함을 사전에 충분히 알고 있었다. 사전 생산 테스트, 소비자 불만, 보증 데이터를 통해 제동 문제를 인지했다는 것이다.
문제는 고르지 않은 도로에서 발생하는 잠금 방지 제동 시스템과 트랙션 제어 시스템의 오작동이다. 팰리세이드 소유주들은 차량의 제동 시스템이 거친 도로 표면에서 제동을 빠르게 해제하고 다시 적용하는 위험한 상황을 만든다고 주장했다.
원고 측은 잠금 방지 제동 및 트랙션 컨트롤 시스템이 거친 도로 상황에서 휠 속도를 잘못 계산한다고 지적했다. 이로 인해 브레이크가 불규칙하게 작동하고, 잠재적으로 긴 정지 거리와 사고 위험이 증가한다는 것이다.

운전자가 안전하게 정지하는 것을 더 어렵게 만드는 치명적 결함이었음에도 현대차는 이를 공개하지 않았다는 게 소비자들의 주장이다.
현대차의 숨겨진 속내는?

소송을 제기한 소비자들은 현대차의 대응이 ‘의도적인 은폐’에 가깝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소비자들은 “현대차가 결함을 인지한 뒤에도 리콜을 실시하거나 공표하지 않고 묵인했다”고 주장했다.
이 같은 주장은 현대차 측이 팰리세이드를 고급 SUV로 마케팅하면서 문제를 공개적으로 인정할 경우 브랜드 이미지 손상을 우려했기 때문이라는 추측도 함께 나온다.
이는 소비자의 안전보다 브랜드 이미지와 판매 실적을 우선시한 결과라는 지적이다. 이에 소비자들의 분노는 더욱 커져가고 있으며, 현대차의 도덕성과 신뢰성에 치명적 타격을 줄 전망이다.
잇따른 논란, 계속되는 악재

이번 브레이크 결함 소송은 팰리세이드를 둘러싼 첫 번째 집단 소송이 아니다. 앞서 2020-2023년형 팰리세이드에서도 예기치 않게 잠금이 풀리는 안전벨트 문제로 소송이 제기된 바 있다.
이처럼 연이은 안전 문제 제기는 현대차의 품질 관리 시스템에 대한 의문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특히 미국 시장에서 프리미엄 SUV로 포지셔닝한 팰리세이드의 안전성 논란은 브랜드 이미지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
한편 이번 소송은 리콜 대상 팰리세이드 모델을 구매하거나 리스한 뉴욕과 오하이오주 거주자들을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집단 소송의 규모와 결과에 따라 현대차가 입을 피해 규모도 달라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