쏘나타, 판매량 44.7% 증가
택시 모델·디 엣지 흥행 주도
글로벌 연비 챔피언으로 부활

“쏘나타 단종설까지 나왔는데, 진짜 부활했네”, “하이브리드 연비 보니 다시 관심이 간다”
한때 ‘국민차’로 불리며 큰 사랑을 받았던 현대자동차 쏘나타. 그러나 SUV 열풍과 세단 시장 축소로 판매량이 급감하며 ‘단종설’까지 나왔던 그가 다시 부활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쏘나타, 판매량 44.7% 상승하며 귀환 예고
지난해부터 이어진 판매량 상승세는 쏘나타의 완벽한 귀환을 예고하고 있다.
지난해 쏘나타의 국내 판매량은 5만7,355대로 전년 대비 44.7% 증가했다. 같은 기간 아반떼(-13%)나 그랜저(-36.6%)가 하락한 것과는 대조적이다.


특히 초반 월간 판매량이 500대에 불과했지만, 3월부터 월 4,000대 수준으로 회복하며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이런 반등에는 ‘쏘나타 택시 모델 부활’이 큰 역할을 했다. 현대차는 2022년 단종한 LPG 택시 모델을 중국 공장에서 제작해 수입·판매하기로 결정했다.
지난해 4월 602대를 시작으로 5월 1,835대, 6월 2,664대 등 판매가 꾸준히 늘어 연간 총 1만8,000여 대가 팔렸다. 내구성을 높인 전용 엔진과 변속기, 넓은 2열 공간, 다양한 편의 기능이 안정적 판매를 이끌었다.
1회 주유로 1,078km, 효율성 극대화한 성능
또한 젊은 세대를 겨냥한 ‘쏘나타 디 엣지’도 흥행에 기여했다. 스포츠 세단 디자인을 강조한 이 모델은 20~30대 소비자층을 공략하며 새로운 수요층을 확보했다.

쏘나타의 성과는 국내에만 머무르지 않았다. 미국 자동차 전문 매체 카 앤 드라이버는 ‘1회 주유로 가장 멀리 주행할 수 있는 차량’에 쏘나타 하이브리드를 선정했다.
쏘나타 하이브리드는 1회 주유로 670마일(약 1,078km)을 달려 7위를 기록했다. 항속 주행 기준 연비는 21.7km/L로, 2.0L 4기통 엔진과 전기 모터를 결합해 효율성을 극대화했다.
카 앤 드라이버는 “SUV가 세단을 대체하는 상황에서도 쏘나타는 다양한 파워트레인을 제공하며 여전히 매력적인 선택지”라고 평가했다.
단종 위기까지 갔던 쏘나타는 이제 국내외에서 다시 주목받는 세단으로 자리 잡았다. ‘택시 시장 부활’과 ‘글로벌 연비 챔피언’이라는 두 날개를 단 쏘나타가 과연 ‘국민차’의 영광을 되찾을 수 있을지 기대된다.
k7 hyd 도 1100 나오는데
그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