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살 이유 없어졌다” 심상치 않더니…결국 우려가 현실로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미국, 일본산 자동차 관세 인하
  • 한국산 자동차 관세 여전히 높아
  • 현대차, 현지 생산 확대 전략

미국이 일본산 자동차 관세를 인하하면서 한국 자동차 업계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 미국은 일본산 자동차 관세를 15%로 인하했습니다.
  • 한국산 자동차는 여전히 25% 관세가 적용됩니다.
  • 현대차는 현지 생산을 늘려 대응하고 있습니다.

미국과 일본의 관세 협정 발효로 일본산 자동차의 관세가 15%로 인하된 반면, 한국산 자동차는 25% 관세가 계속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현대차는 현지 생산 확대와 공급망 재정비로 관세 부담을 줄이려 합니다.

  • 일본과의 관세 격차로 현대차의 가격 경쟁력이 낮아졌습니다.
  • 현대차는 현지 생산을 통해 관세 부담을 줄이려 하지만 한계가 있습니다.
  • 현대차의 미국 내 판매는 증가하고 있지만 관세 협상 결과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25% 관세에도 가격 동결 유지
일본은 낮춘 관세에 ‘가격 역전’
현대차 “현지 생산으로 버틴다”
현대차
미국 트럼프 대통령,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 출처 : 연합뉴스, 뉴스1

미국 정부가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15%로 인하하면서 국내 완성차 업계가 초비상에 걸렸다. 한·미 관세 협상이 늦어지는 사이, 일본과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고 있다.

현대차는 ‘가격 유지’를 고수한 채 현지 생산 확대와 공급망 재정비로 정면 돌파하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이 전략이 얼마나 오래 지속될 수 있을지 불투명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본 차는 관세 인하, 한국 차는 ‘제자리’

현대차
토요타 / 출처 : 연합뉴스

지난 16일(현지 시각)부터 미국은 일본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를 기존 27.5%에서 15%로 낮췄다. 지난 7월 미국과 일본이 맺은 관세 협정이 두 달 만에 실제로 발효되는 것이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현대차의 현지 생산 확대 전략이 성공할까?

반면 한국은 같은 시기 미국과 15%로 관세를 낮추기로 합의했지만, 발효 시점이 계속 미뤄지며 한국산 자동차는 여전히 25%에 달하는 높은 관세를 물고 있다. 불과 2개월 전까지만 해도 일본보다 2.5%포인트 유리했던 관세가, 이제는 10%포인트 더 불리한 상황으로 바뀌었다.

현대차
팰리세이드 / 출처 : 현대자동차

이에 따라 미국에서 현대차와 토요타 같은 동급 차량의 가격 구도에도 변화가 생겼다. 미국 내에서 현대차 ‘팰리세이드’의 기본 가격은 3만9435달러, 토요타 ‘4러너’는 4만1270달러 수준이다. 하지만 관세가 붙으면 팰리세이드는 4만6336달러로 뛰고, 4러너는 4만5603달러로 오히려 가격 역전 현상이 벌어진다.

업계에 따르면 관세 인하 협상이 지연되면서 이에 따른 관세 부담은 2조 원 이상으로 추산된다. 이는 2분기 대비 부담이 더 커질 수 있다는 의미다.

현대차는 왜 가격을 올리지 않을까?

현대차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 출처 : 연합뉴스

💡 현대차가 관세를 낮추지 않고도 미국에서 판매를 유지할 수 있는 이유는?

현대차는 관세 인하 대신 현지 생산을 확대하여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 미국 내 현대차 공장의 생산 능력을 증가시켰습니다.
  • 현지 생산으로 일부 관세 부담을 줄이고 있습니다.
  • 품질과 안전성으로 소비자의 신뢰를 얻고 있습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4월 25% 관세가 적용된 이후에도 가격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 시장 점유율을 지키기 위한 전략으로 해석된다.

현대차그룹은 관세 부담을 ‘현지화’로 돌파한다는 계획이다. 미국 조지아주에 위치한 ‘현대차그룹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의 가동률은 1분기 50%에서 최근 70% 이상으로 올랐으며, 연간 생산능력도 30만 대에서 50만 대로 확장할 예정이다.

하지만 한계도 분명하다. 미국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하이브리드 차량은 대부분 한국에서 수출되고 있어 관세를 피할 수 없다. HMGMA 역시 하이브리드 양산은 내년에나 가능하다.

실제 현대차·기아는 2분기 미국 내 재고 차량을 활용해 일정 부분 관세 부담을 줄였지만, 재고가 소진된 3분기부터는 타격이 더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3분기에는 관세가 그대로 반영될 수밖에 없어 수익성이 더 나빠질 것”이라며 “현지 생산을 늘린다 해도 가동률을 100%까지 끌어올리려면 시간이 더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잘 팔리는 이유

현대차
현대차·기아 본사 사옥 / 출처 : 연합뉴스

이러한 관세 부담 속에서도 현대차그룹은 판매 호조를 이어가고 있다. 지난 8월 현대차·기아는 미국에서 17만9455대를 판매해 전년 동기 대비 10.9% 증가하며 월간 최다 판매 기록을 세웠다.

전기차 중에서는 ‘아이오닉5’가 7773대 팔리며 역대 최다 판매량을 기록했다. 현대차그룹은 안전성과 상품성이 미국 소비자의 신뢰를 얻었다고 설명했다.

현대차
아이오닉 5의 사고 당시 현장 모습 / 출처 : 사고 당사자 SNS

실제로 최근 SNS에는 “후방에서 픽업트럭이 빠른 속도로 들이받았지만, 아이오닉5가 가족을 안전하게 지켜줬다”는 사고 경험담이 화제가 됐다. 이 차량은 사고 당시 뒤 범퍼와 트렁크가 크게 파손됐지만, 내부 탑승 공간과 카시트는 온전하게 남았다.

이뿐만이 아니다. 현대차그룹은 올해 미국 고속도로안전보험협회(IIHS) 충돌 평가에서 총 14개 차종이 최고 등급인 ‘톱 세이프티 픽 플러스(TSP+)’를 받았다.

이에 업계에서는 “미국과의 관세 협상을 조속히 마무리해 관세 부담을 줄이면 현대차의 미국 판매는 계속 늘어날 것”이라는 진단도 나온다. 결국 현대차의 미국 영업 전략도 관세 협상 결과에 달린 셈이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현대차의 현지 생산 확대 전략이 성공할까?
성공할 것이다 75% 실패할 것이다 25% (총 8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