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억짜리 미사일도 무용지물” …4천만 원짜리 로켓에 속수무책, 한국도 안심하다가는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대만 T-돔 시스템 효용성 논란
  • 중국, 다연장 로켓 배치
  • 대만 방어 전략 재검토 필요

대만의 T-돔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 효용성 논란에 직면하고 있습니다.

  • 중국은 단거리 탄도 미사일 대신 다연장 로켓을 배치 중입니다.
  • 대만의 미사일 방어 집중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 중국의 군사력 증대가 인도·태평양 안보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대만의 미사일 방어 시스템인 T-돔이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중국이 탄도 미사일 대신 다연장 로켓을 배치하면서 방어 체계의 취약성이 지적되고 있습니다.

중국은 PHL-191 장거리 다연장 로켓을 동부와 남부 전구에 배치하고, 대만과 가까운 해안에 전략을 집중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대만의 방어 전략도 새롭게 재검토되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 중국은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철수하고 PHL-191을 주요 무기로 사용 중입니다.
  • 대만의 미사일 요격 체계는 다연장 로켓에 비해 비용 효율성이 낮습니다.
  • 중국의 중장거리 미사일은 미국과 일본을 겨냥한 전력으로 분석됩니다.
  • 중국의 군사력 증대는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지형을 흔들 수 있습니다.
대만의 방어 전략에 대한 비판 고조
다연장 로켓으로 방어 체계 무력화
제2도련선까지 작전 역량 확대 우려
다연장 로켓
톈궁3 / 출처 : 연합뉴스

대만 정부가 막대한 예산을 들여 구축하려는 T-돔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 계속해서 효용성 논란에 휘말리고 있다.

앞서 대만 내 군 전문가들은 대만 정부가 미사일로만 방공 요격 체계를 구성할 경우 드론 등에 취약할 수 있다고 지적했으며 이번에는 다연장 로켓을 막기 어렵다는 지적이 등장했다.

탄도 미사일에서 다연장 로켓으로 변화

패트리엇
패트리엇 / 출처 : 레이시온

예비역 대만 육군 대령 쑨빙중은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대만을 공격하기 위한 중국의 주요 무기가 단거리 탄도 미사일에서 다연장 로켓으로 변경되었다고 설명했다.

쑨빙중 전 대령은 1990년대 중반 발생했던 3차 대만 해협 위기 당시에는 중국의 탄도 미사일이 대만을 위협한다고 판단했지만 정작 현재 중국은 DF-11과 DF-15 등의 단거리 탄도 미사일을 단계적으로 철수하고 신형 무기를 연구하지 않고 있다는 점을 언급했다.

그러면서 쑨 전 대령은 중국이 대만까지 불과 130~200km 떨어진 본토 해안 지역에 PHL-191 장거리 다연장 로켓을 배치하고 있다는 점을 강조하며 중국군의 전략이 바뀌고 있다는 지적을 남겼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대만의 미사일 방어 전략, 효과적일까?

미사일 요격만 방어 체계 집중 우려

패트리엇
패트리엇 / 출처 : 레이시온

쑨빙중 전 대령은 중국이 대만 타격 전략을 바꾸는 상황에서 대만이 미사일 방어 체계에만 막대한 자금을 투입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주장한다.

쑨 전 대령은 중국군이 대만 해협을 관할하는 동부전구와 남중국해를 관할하는 남부전구에 PHL-191 부대를 각 7개 대대와 5개 대대를 배치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PHL-191의 특징을 분석하며 중국이 사거리 150km급 로켓탄과 사거리 300km급 로켓탄을 각각 천 발 이상 발사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사거리 500km 수준의 탄도 미사일도 운용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패트리엇
패트리엇 / 출처 : 연합뉴스

여기에 300km급 다연장 로켓은 한 발 당 가격이 4천만 원 수준이지만 미사일 요격 체계의 대표주자인 패트리엇은 한 발 당 가격이 30억 원 수준이란 점을 들어 저렴한 로켓으로 밀어붙이는 중국의 소모전에 대비할 새 전략을 촉구했다.

💡 대만의 T-돔 미사일 방어 시스템이 왜 논란이 되고 있나요?

T-돔 시스템은 대만의 미사일 방어 체계로, 최근 효용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는 중국이 다연장 로켓을 주요 무기로 사용하는 전략 변화를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 때문입니다.

  • 중국은 단거리 탄도 미사일 대신 다연장 로켓을 배치하고 있습니다.
  • 대만의 방어 체계가 드론 등에도 취약하다는 우려가 있습니다.

미사일은 미국과 일본 견제를 위한 전력

패트리엇
패트리엇 / 출처 : 연합뉴스

이 밖에도 쑨빙중 전 대령은 중국이 가진 중장거리 탄도 미사일은 미국과 일본의 군사 목표물을 겨냥한 전력으로 분석했다.

현재 중국은 사거리 2,500km 수준의 DF-17과 5,000km 수준의 DF-26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해당 미사일은 제1도련선과 제2도련선 일대의 군사 목표물을 타격할 수 있다.

도련선은 중국의 해상 안보 라인으로 오키나와-대만-필리핀-말라카 해협을 잇는 제1도련선과 오가사와라 제도-괌-사이판 등을 잇는 제2도련선이 있다.

최근 중국은 세 번째 항공모함인 푸젠함을 전력화하고 있으며 군 전문가는 중국이 3척의 항공모함을 도입하면 제2도련선까지 작전 영역이 확대될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이처럼 도련선 내에서 중국의 군사력과 작전 역량이 증대되는 점은 인도·태평양 지역의 안보 지형을 흔들 수 있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대만의 미사일 방어 전략, 효과적일까?
효과적이다 23% 효과적이지 않다 77% (총 13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