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해병대, K-2 전차 소요 제기
- 전술 지대지 미사일 도입 추진
- 여·야, 해병대 전력 강화 지지
해병대가 국정감사에서 K-2 전차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한국형 전술 지대지 미사일 도입도 추진하고 있습니다.
- K-2 전차는 해병대에 도입되지 않았으나 필요성이 제기됨
- 한국형 전술 지대지 미사일과 대공포 등 추가 무기 도입 추진
- 여야 모두 해병대 전력 강화 필요성에 동의
해병대는 현재 K-1 계열 전차를 보유하고 있으나, K-2 전차 도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형 전술 지대지 미사일과 대공포, 방공 레이더 도입도 계획 중입니다.
- K-2 전차는 상륙함 공간 문제로 도입되지 않았으나, 해병대는 성능 강화를 위해 필요성을 주장
- 한국형 전술 지대지 미사일은 180km 및 300km 사거리로 나뉘며, 장거리 타격 수단 확보가 중요
- 여야 모두 해병대가 서북도서 방어의 최전선임을 강조하며 전력 강화를 지원할 의사 표명
해병대의 K-2 전차 소요 제기
전술 지대지 미사일의 필요성
해병대 전력 보강 강조한 여·야

계룡대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해병대의 주일석 사령관이 올해 합참에 K-2 전차의 소요를 제기했다고 밝혔다.
K-2 전차는 한국 방산의 주요 상품이자 2014년부터 육군에 도입되기 시작한 최신형 전차지만 지금껏 해병대는 이를 단 한 대도 보유하지 않았었다.
K-2 전차 도입을 원하는 해병대

현재 우리 군이 보유한 전차 중 가장 진일보한 성능을 보유한 전차는 K-2 전차다. 하지만 해병대는 여전히 K-1 계열의 전차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이번 국정감사에서 주일석 해병대사령관은 해병대의 K-2 전차 필요성을 역설했다.
지금껏 해병대가 K-2 전차 대신 K-1 계열을 사용한 가장 큰 이유는 상륙 작전 시 가용할 수 있는 상륙함의 공간 문제 때문이다.
K-1은 크게 105mm 52구경장 포신을 사용하는 K-1E1 계열과 120mm 48구경장 포신을 사용하는 K-1A1·A2 계열로 나눌 수 있다. 반면 K-2는 120mm 55구경장 포신을 사용해 전차 포신의 길이가 K-1 계열보다 훨씬 길다.

이로 인해 그동안은 해병대가 상륙함의 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 K-1 전차를 사용하는 것이 더 낫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었다. 하지만 해병대 측은 올해 합참에 K-2 전차 소요를 제기하며 지금보다 더욱 강력한 전력의 필요성을 주장하고 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해병대의 K-2 전차 도입, 필요할까?
한국형 전술 지대지 미사일도 필요

해병대는 K-2 전차 이외에도 한국형 전술 지대지 미사일(우레·KTSSM)과 30mm 차륜형 대공포 ‘천호’, 국지 방공 레이더 등의 도입도 추진하고 있다.
얼마 전 ‘우레’라는 명칭을 받은 한국형 전술 지대지 미사일은 견인형 고정 포드를 사용해 180km 수준의 사거리를 보유한 1과 천무 플랫폼을 사용하고 사거리를 300km급으로 확장한 2로 나눌 수 있다.
특히 해병대는 포항에 위치한 1사단과 제주에 위치한 9여단 등을 제외하면 2사단(김포), 6여단(백령도), 연평부대(연평도) 등이 북한과 마주 보고 있어 장거리 타격 수단의 확보가 더욱 중요하다.
💡 해병대가 K-2 전차를 도입하려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해병대는 K-2 전차가 가진 진일보한 성능을 통해 전력을 강화하고자 합니다. K-2 전차는 한국 육군에 도입된 최신형 전차로, 해병대는 현재 K-1 계열 전차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 K-2 전차는 더욱 긴 포신을 가진 120mm 55구경장 포신을 사용
- 상륙함 공간 문제로 인해 도입이 어려웠으나, 해병대는 성능 강화를 위해 필요성을 강조
해병대 전력 강화에 여·야 한 목소리

이번 국감에선 해병대의 전력 강화 필요성에 여·야 모두 같은 목소리를 냈다. 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해병대가 전방에서 전투를 수행하는 만큼 무기 체계가 가장 선진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며 해병대의 무기 도입 사업을 국회 차원에서 지원하겠다는 의사를 표했다.
또한 유용원 국민의 힘 의원도 “해병대는 우리 군의 유일한 상륙·도서 작전 전담 부대이자 서북도서 방어의 최전선 전력임에도 전력 보강이 육군보다 최대 10년 이상 뒤처져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유 의원은 “서북도서 작전 환경을 고려해 해병대 전력 보강이 최우선 과제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해 여·야 모두 해병대의 전력 강화를 지원하겠다는 목소리를 높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