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인 고문했다는 전투기도 무용지물” …기어코 등장한 ‘최악의 소식’, 천조국 위상도 이젠 옛말?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미군의 공중 전력 약화 우려
  • 전투기 퇴역 속도가 충원보다 빠름
  • 중국과의 기술 격차 감소

미군의 공중 전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 미군은 전투기 퇴역 속도가 충원보다 빠르다.
  • 중국과의 기술 격차가 감소하고 있다.
  • 미군은 역사적으로 공중 전력의 우세를 유지해왔다.

미군의 공중 전력이 약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투기 퇴역 속도가 충원 속도를 초과하고 있어 우려가 커지고 있다.

중국은 5세대 전투기 생산과 6세대 전투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어, 기술 격차가 줄어들고 있다.

  • 미군은 전통적으로 강력한 공중 전력을 유지해왔다.
  • 2025년과 2026년의 전투기 퇴역과 충원 비율이 크게 차이난다.
  • 중국의 군사력 확장으로 인해 미군의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
미군의 강력함을 상징했던 공중 전력
전투기 퇴역 증가로 우위 상실 우려
중국과의 기술 우위 격차도 점차 감소
미국 공군
엘리펀트 워크 / 출처 : 미 국방부

지금까지 수많은 전쟁에서 미군의 전술적 우위를 달성하게 해주었던 공중 전력이 매우 급속도로 약화하고 있다는 우려가 해외 군사 매체를 통해 등장했다.

Defense Express 등의 외신은 미국이 신규 전투기 충원에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지적했으며 군 전문가들은 이러한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것이라 지적하고 있다.

미군을 상징하는 강력한 공중 전력

미국 공군
엘리펀트 워크 / 출처 : 미 국방부

지금껏 미군의 강력한 전력과 전술을 상징하는 건 공중 전력이었다. 미 공군은 1947년 창설 이후 단 한 번도 전쟁에서 제공권을 내준 적이 없으며 그 이전에는 육군 항공대와 해군 항공대가 공중 전력의 중추를 담당해 제2차 세계 대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이처럼 미군은 역사적으로 항시 공중 전력의 우세를 중요하게 생각했으며 이를 잘 보여주는 이야기도 존재한다.

만약 정체를 알 수 없는 군대를 마주쳤을 때 그들을 향해 총알을 발사할 경우 소총 사격으로 대응하면 영국군, 기관총을 발사하면 독일군, 5분 뒤 머리 위로 폭탄을 떨어뜨리고 가면 미군이라는 것이다.

그만큼 미국은 강력한 공중 전력을 바탕으로 지상군에게 화력을 지원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미국의 공중 전력 우위가 이제는 더 이상 지속되기 힘들 수 있다는 우려가 등장했다.

💡 미군의 공중 전력 약화는 왜 문제인가요?

미군의 공중 전력 약화는 미국의 군사적 우위를 위협할 수 있습니다.

  • 공중 전력은 전장에서의 제공권을 유지하는 데 필수적입니다.
  • 중국과 같은 국가들이 군사력을 확장하고 있어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습니다.
  • 전투기의 충원 부족은 전력 공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신규 전투기 충원보다 빠른 퇴역 속도

미국 공군
F-22 / 출처 : 미 국방부

해외 군사 매체 Defense Express 등 다수의 보도에 따르면 미군은 일부 예산 삭감으로 인해 전투기 충원이 쉽지 않은 상황이다.

2025 회계연도 기준 미군은 250대의 항공기를 퇴역시키지만 충원은 고작 91대에 불과하다. 여기에 2026 회계연도를 기준으로 살펴보면 미군은 340대의 항공기가 퇴역하지만 이를 보충하는 수량은 76대에 머물러 4.5대 1의 비율을 기록했다.

해외 군사 매체들은 1980년대에 도입된 전투기와 각종 군용기가 단계적으로 퇴역하기 시작하면 이러한 상황은 더욱 악화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현재 미국은 냉전 종식 당시보다 약 절반 수준의 공중 전력을 보유하고 있지만 중국과 러시아, 북한과 이란 등 잠재적 위협 세력으로 인해 오히려 더 많은 전력이 필요한 상황이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미 공중 전력 약화, 우려할 만한가?

양적 우위와 기술적 우위 모두 희미해져

미국 공군
F-15 / 출처 : 미 국방부

Defense Express 등은 미국의 공중 우위 초석은 양적 우위와 더불어 기술적 우위가 함께 병행되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하며 이제는 미국이 기술적 우위를 점하기 힘들어지고 있다는 지적도 덧붙였다.

특히 중국이 5세대 전투기 생산량을 빠르게 늘리고 6세대 전투기 개발에 속도를 높이면서 미국의 우위가 옅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지속해서 제기된다.

외신들은 미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의 통계 자료를 인용해 이 같은 우려를 표명했으며 해당 자료를 살펴보면 중국은 급속도로 국방 예산을 증액하고 공군 현대화에 투자하고 있는 상황이다.

미국 공군
F-35 / 출처 : 미 국방부

CSIS는 보고서를 통해 중국의 군비 증강 실태를 분석하고 지난 수십 년 동안 중국군은 “중국 국경 너머까지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최첨단 군대”로 변모해 왔다고 지적했다.

이처럼 중국의 군사력 확장이 점차 빨라지는 가운데 미국이 공중 전력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미 공중 전력 약화, 우려할 만한가?
우려된다 92% 우려되지 않는다 8% (총 13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