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백년 세월 녹여내더니 “세계가 드디어 주목했다”…한국은 대체 언제부터

글로벌 전통의약 시장 5년내 7700억달러 전망
WHO도 의료비 절감·예방 효과 인정해
한국 기업들 “해외 진출 기회 왔다” 기대감
Traditional medicine market growth
세계보건기구(WHO)가 전통 의약의 가치를 인정하면서 글로벌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 출처-연합뉴스

“웰니스가 대세인 서구 사회에서 한의약이 드디어 주목받다니”

수백년 동안 이어져 온 한국의 전통 의학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가 전통 의약의 가치를 인정하면서 글로벌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는 것이다.

글로벌 시장 연 8.2% 고성장 전망

Traditional medicine market growth (2)
한국무역협회 / 출처-연합뉴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전통 의약 시장은 2022년 5,186억 달러(한화 약 753조 590억 원)에서 2027년 7,682억 달러(한화 약 1,115조 5,000억 원)로 성장할 전망이다. 연평균 성장률은 8.2%에 달한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도 북미 시장의 성장세가 꺾이지 않았다는 점이 주목된다. 웰니스 트렌드와 맞물려 서구의 고소득층을 중심으로 소비가 꾸준히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수천년 이어온 한의학의 저력

Traditional medicine market growth (3)
동의보감 / 출처-허준박물관

한의학의 역사는 단군신화에 등장하는 쑥과 마늘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고구려 시대인 561년에는 중국 의학서가 유입되며 본격적인 발전의 토대를 마련했다. 또한, 조선시대에는 허준의 ‘동의보감’이 편찬되며 한의학의 황금기를 맞았다.

이는 동양 의학의 큰 업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일제강점기에는 잠시 침체기를 겪었으나, 해방 이후 한의사 제도의 부활과 함께 새로운 도약을 이뤄냈다.

현대화로 글로벌 시장 공략 나서

Traditional medicine market growth (4)
한의학 서비스를 받기 위한 의료관광객도 점차 증가하고 있다 / 출처-연합뉴스

국내 한의약 시장 규모는 2017년 11조 원에서 2021년 12조 6천억 원으로 4년 만에 14.8% 성장했다. 한의학 의료 서비스를 받기 위해 한국을 찾는 의료관광객도 증가하는 추세다.

현재 글로벌 시장에서는 중국의 동인당과 운남백약그룹, 인도의 히말라야와 다부르, 일본의 쯔무라, 독일의 벨레다 등이 선두를 다투고 있다. 이들 기업은 전통 의약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과학적 근거 확보가 관건

Traditional medicine market growth (5)
한의약 기업 231곳은 수요 증가를 체감하고 있다고 밝혔다 / 출처-연합뉴스

무역협회가 한의약 기업 231곳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56.7%가 수요 증가를 체감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64.1%는 매출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응답했다.

하지만 해외 진출을 위해서는 넘어야 할 산이 많다. 설문 조사에서 기업들은 해외시장 정보 부족(89.4%), 자금 부족(30.6%), 국가별 인증 기준 차이(25.3%) 등을 주요 장애물로 꼽았다.

새로운 도약을 위한 과제

Traditional medicine market growth (6)
우리나라 자생 한약재 전시관 / 출처-연합뉴스

임지훈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한국이 중국과 인도에 비해 수출이 뒤처지지만, 원료 가공과 응용 제품 분야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했다.

계속해서 그는 “천연물 신약과 건강기능식품으로 제품군을 확대하면 수출 포트폴리오 다각화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한의학이 현대 의학과 조화를 이루며 발전하고 있다”며 “과학적 근거 확보와 함께 한의약의 현대화가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특히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의학에 대한 인식이 개선되고 있다는 점은 고무적이다.

Traditional medicine market growth (7)
한국한의학연구원 전경 / 출처-연합뉴스

한 한의학 전문가는 “수백년간 축적된 임상 경험과 현대 과학의 만남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것”이라며 “한의약이 세계 의료시장의 새로운 대안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산업계에서는 한의약의 글로벌화를 위해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와 함께 국제 표준화 작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에 따라, 정부 차원의 제도적 지원과 더불어 기업들의 적극적인 해외시장 개척 노력이 요구되는 시점이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