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40만 원 넣으면 1080만 원 준다?”…파격적 혜택 발표한 서울시, 놓치면 ‘큰일’

청년이 저축하면 서울시가 같은 금액 지원
‘꿈나래 통장’으로 자녀 교육비 절반 마련
6월 신청, 11월 최종 선정…기회는 지금
청년 저축 서울시 지원
출처: 연합뉴스

서울시가 1만 명의 청년과 저소득 가정에게 ‘돈 두 배 불리기’ 기회를 제공한다.

바로 ‘자산형성지원 프로그램’이라는 공식 명칭을 가진 이 정책은, 시민이 저축한 만큼 서울시가 같은 금액을 보태주는 매칭펀드 방식이다.

매칭펀드란 개인이 투자한 돈에 정부나 기관이 일정 비율로 자금을 추가 지원하는 제도를 뜻한다.

계산기를 두드려보면 그 위력이 확실해진다. 청년이 3년간 매월 15만원씩 저축하면 본인 돈은 540만원이 된다. 여기에 서울시가 같은 금액인 540만원을 보태주고, 이자까지 얹어준다.

청년 저축 서울시 지원
출처: 연합뉴스

결과적으로 1080만원 이상의 목돈을 만들 수 있다. 연봉 3000만원대 직장인이 생활비를 빼고 매달 15만원 모으기도 쉽지 않은 현실에서, 이는 상당한 인센티브다.

이젠 강남·도봉 차별 없다…지역 격차 없앤 공정 경쟁

대상자 조건은 명확하다. 월 소득 255만원 이하인 서울 거주 청년이면 누구나 신청할 수 있다.

255만원이라는 기준은 전국 중위소득의 약 80% 수준으로, 사실상 대부분의 사회초년생과 취업준비생이 해당된다.

부양의무자 연소득이 1억원 미만이어야 한다는 조건도 있지만, 이는 고소득 부모를 둔 자녀의 참여를 제한하기 위한 최소한의 장치다. 제대군인의 경우 36세까지 지원 범위를 확대했다.

청년 저축 서울시 지원
출처: 연합뉴스

이번 개편의 핵심은 ‘지역 불평등 해소’다. 기존에는 자치구별로 인원을 배정해 강남구 청년과 도봉구 청년이 다른 경쟁률을 뚫어야 했다.

이제는 전 서울시민이 동일한 조건에서 경쟁한다. 거주지에 따른 기회 격차를 없앤 셈이다.

월 15만원 저축이 목돈으로…저소득 가정에 실질 지원

저소득 가정을 위한 ‘꿈나래 통장’도 함께 확대된다. 14세 이하 자녀를 둔 부모가 3년 또는 5년간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서울시가 그 절반을 지원한다.

중위소득 51~80% 가구가 주요 대상이며, 다자녀 가구에는 최대 90%까지 소득 기준을 완화했다. 자녀 교육비 마련이 절실한 가정에게는 실질적인 도움이 된다.

청년 저축 서울시 지원
출처: 연합뉴스

신청은 6월 9일부터 20일까지 서울시 자산형성지원사업 홈페이지에서 진행된다.

서류심사와 소득·재산 조사를 거쳐 11월에 최종 선발 결과가 나온다. 복잡해 보이지만, 결국 본인의 경제적 미래를 바꿀 수 있는 기회다.

월 15만원이라는 돈이 부담스러울 수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 요금, 카페 음료비, 배달비를 조금씩 줄이면 충분히 가능한 금액이다.

불확실한 미래를 걱정만 하기보다, 눈앞의 확실한 기회를 잡는 것이 현명하다. 서울시의 지원을 받아 목돈을 만들 수 있는 이런 기회는 흔치 않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