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에 그리던 새 아파트인데 “계약 앞두고 등 돌렸다”…이유 살펴보니 ‘맙소사’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정부 규제로 청약 시장 침체
  • 청약통장 가입자 224만 명 감소
  • 미분양 확산 우려 증가

정부의 규제 강화로 인해 아파트 청약 시장이 침체되고 있습니다.

  • 청약통장 가입자가 224만 명 감소했습니다.
  • 서울과 지방 모두 미분양 물량이 늘고 있습니다.
  • 분양가 급등과 규제로 인해 청약 경쟁률이 하락했습니다.

정부의 부동산 규제 강화로 인해 아파트 청약 시장이 냉각되고 있습니다. 이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에서도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청약통장 가입자가 크게 줄어들고, 높은 분양가와 규제로 인해 청약 경쟁률이 급격히 하락하고 있습니다.

  •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24만 명 감소했습니다.
  • 부산, 경기도 등지에서 미분양 물량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 정부의 소득 공제 혜택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청약 수요 감소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부동산 규제 강화 속
청약통장 가입자 224만 명 감소
미분양 확산 우려 커져
청약
청약 포기 속출 / 출처: 연합뉴스

한때 높은 경쟁률을 기록하며 뜨거운 인기를 과시했던 신규 아파트 분양 시장이 정부의 초강력 규제 이후 냉랭하게 식어가고 있다.

수도권 규제의 직격탄을 맞은 서울뿐만 아니라, 규제를 피했던 지방 분양 시장에서조차 계약을 포기하는 수요자가 늘어나면서 미분양 물량이 가파르게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분양가 급등에 심리가 냉각된 상황에서 정부 규제까지 겹치자, 청약 시장의 단지별 양극화는 더욱 심화되는 양상이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정부의 부동산 규제, 효과적일까?

부산 핵심지에서 ‘무순위 청약’ 등장

7일 한국부동산원 청약홈에 따르면, 부산 동래구의 ‘힐스테이트 사직 아시아드’ 단지에서 26가구에 대한 무순위 청약 공고가 나왔다.

청약
청약 포기 속출 / 출처: 뉴스1

이 단지는 지난 9월 말 1·2순위 청약에서 144가구 모집에 2천530명이 접수할 정도로 높은 인기를 보였다.

그러나 계약을 포기하는 수요자들이 늘면서 저층 물량 일부가 무순위로 나온 것이다.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11월 전국 아파트 분양 전망 지수는 72.1로 전월 대비 19.4포인트 감소했다. 규제 직격탄을 맞은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까지 하락 전망이 커진 결과다.

💡 정부의 초강력 규제가 신규 아파트 분양 시장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정부의 초강력 규제는 신규 아파트 분양 시장에 다음과 같은 영향을 미쳤습니다:

  • 수도권과 지방 시장 모두에 영향: 규제는 수도권뿐만 아니라 지방 분양 시장에서도 계약 포기를 유도하여 미분양 물량 증가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 분양가 상승과 청약 문턱 상승: 치솟는 분양가와 높아진 청약 문턱이 청약 시장의 열기를 식히고 있습니다.
  • 청약 경쟁률 하락: 2020년 대비 청약 경쟁률이 급격히 낮아지면서 청약통장 가입자 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300만 원 소득 공제도 무색, 청약통장 대거 이탈

청약 시장의 관망세가 짙어진 가장 큰 이유는 치솟는 분양가와 높아진 청약 문턱 때문이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 시스템과 부동산원 청약홈 데이터를 종합하면, 전국 아파트 1순위 평균 청약 경쟁률은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7.1대 1에 그쳤다.

청약
청약 포기 속출 / 출처: 연합뉴스

이는 2020년(26.8대 1) 대비 4분의 1 수준으로 급격히 낮아진 수치이다. 이에 따라 청약통장 가입자 수도 대거 이탈하고 있다.

9월 기준 청약통장 가입자 수는 2천634만 9천934명으로, 집값이 하락세로 접어들기 직전인 2022년 6월과 비교해 3년 3개월 동안 224만 9천여 명이 감소한 것으로 집계되었다.

정부가 청약통장 금리 인상, 미성년자 인정 기간 확대, 소득공제 한도 확대(연 300만 원) 등 혜택을 늘렸음에도 불구하고, 시장 위축에 따른 청약 수요 감소를 막지 못한 것이다.

규제와 미분양 공포의 확산

청약통장 가입자 감소와 경쟁률 하락은 정부의 규제 정책과 맞물려 미분양 확산 우려를 키운다.

지방 악성 미분양
청약 포기 속출 / 출처: 뉴스1

수도권에서는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6·27 대책과 토지거래허가구역 지정에 따른 갭투자 원천 차단이 실수요자의 자금 조달을 어렵게 했다.

당첨자조차 전세를 끼고 잔금을 치르는 방법이 막히면서, 현금 동원력이 부족한 수요자들이 계약을 포기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실제로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9월 말 기준 경기도 미분양 물량은 1만 2천656가구로, 전월 대비 6.7% 증가했다.

평택, 김포, 이천 등지에 공급이 몰리면서 미분양이 쌓이는 모습이다. 반면, 분양가 상한제가 적용되는 서울 강남권 일부 단지는 여전히 청약 수요가 몰릴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서울 외 지역은 분양가와 입지에 따라 양극화가 심화하고 있다”며 미분양 물량 증가에 대한 적절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전했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정부의 부동산 규제, 효과적일까?
효과적이다 29% 효과적이지 않다 71% (총 28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