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하던 일 벌어지고 있다”… 무너지는 사장님들 ‘발 동동’

댓글 28

생산자물가 상승에 자영업자 ‘한숨’
식재료값 폭등, 메뉴 가격 또 바뀌나
가격 올리면 손님 줄고, 유지하면 적자
생산자물가 상승 자영업자
출처: 뉴스1(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장사 접어야 하나 싶어요. 남는 게 없어요.” 식당, 카페, 가게를 운영하는 사장님들의 한숨이 깊어지고 있다. 원자재부터 식재료, 서비스 비용까지 줄줄이 오르면서 경영 부담이 눈덩이처럼 커졌다.

최근 생산자물가가 17개월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하면서 자영업자들은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황에 놓였다.

폭등한 식재료, 사장님들 “메뉴판 또 바꿔야 하나”

20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해 1월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0.6% 상승했다. 지난해 11월(0.1%), 12월(0.4%)에 이어 3개월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으며, 상승 폭은 2023년 8월(0.8%) 이후 최대치다.

생산자물가는 기업 간 거래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화를 보여주는 지표로, 소비자물가의 선행 지표 역할을 한다. 즉, 생산자물가가 오르면 소비자물가도 덩달아 상승할 가능성이 높다.

생산자물가 상승 자영업자
출처: 뉴스1(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특히 자영업자들이 체감하는 부담은 식재료 가격에서 두드러졌다.

서울에서 카페를 운영하는 한 사장은 “딸기 가격이 거의 두 배가 됐다. 생과일 주스 팔기가 겁난다”며 “이대로라면 디저트 가격도 올려야 하는데, 이미 손님들 반응이 좋지 않아 고민”이라고 하소연했다.

농림수산품 생산자물가는 한 달 새 4.0% 상승했으며, 그중 농산물은 무려 7.9% 뛰었다. 딸기(57.7%), 감귤(26.5%), 멸치(13.9%), 물오징어(8.4%) 등 외식업에서 많이 쓰이는 품목들의 가격이 급등했다.

수산물(1.4%)도 상승세를 보였고, 축산물(-0.2%)은 소폭 하락했지만, 전반적인 원자재 가격 흐름을 고려하면 안심하기 어려운 상황이다.

“가격 올리자니 손님 줄고, 안 올리자니 적자”

생산자물가 상승 자영업자
출처: 뉴스1(이해를 돕기 위한 사진)

더 큰 문제는 소비심리가 이미 위축된 상태에서 가격 인상이 쉽지 않다는 점이다. 가격을 유지하면 수익이 줄어들고, 올리면 손님이 떨어져 나가는 딜레마에 빠진다.

이러한 자영업자들의 고민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국내 생산품뿐만 아니라 수입품까지 포함한 국내공급물가도 전월 대비 0.6% 상승했다. 상승 폭은 지난해 12월(0.7%)보다 소폭 둔화됐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앞으로의 물가 흐름은 국제유가, 원자재 가격, 환율 등 대외 변수에 영향을 받을 것으로 보인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이달 들어 유가와 환율이 전월 평균보다 다소 하락했지만, 변동성이 큰 만큼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사장님들의 한숨은 깊어지고 있다. “이러다 진짜 가게 문을 닫아야 하는 거 아닌가” 하는 우려가 점점 현실이 되고 있다.

28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8

  1. 코로나때 전세계 경제가 휘청 될때 문재인이 전세계 어느 나라보다 선방을 잘했다고 세계에사 인정응. 코로나 이후 새로운 경제 문제에 돌입했는데 그때 윤돼지 머저리와 김건희 검찰 새끼들이 딴짓거리리

    응답
  2. 어차피청치하는놈들은거기서거기다. 누가해두나라는 망한다이젠 우리국민들이정신똑바루차려야됀다

    응답
  3. ㅎㅎ 지금 윤석열 때문에 나라가 망하기 직전인데도 아직 민주당 탓을 하는 얼빠진 놈들은 뭐냐 도대체 생각이란걸 안하고 사는 인간들이네.

    응답
  4. 쥐뿔도 읍는 늠들이 부자처럼 투표하니 당해도 싸다. 태극기 성조기 흔들며 미처가는 사람들

    응답
  5. 이것도 민주당 문재인 탓하는 인간들이 있어니 맘해도 싸다. 지금 물가가 오르는게 전정부와 민주당 탓이가? 모지리들 윤석열은 뭘했나? 사고뭉치에 경제 뒷걸을질 대통령 놀이만 하다 탄핵이다.

    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