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디어 ‘이 돈’ 안 내도 된다”…”30년 묵은 관행” 정부 칼 빼들자, 서민들 ‘속 시원’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정부, 검사비 구조 개편 추진
  • 환자 부담 감소 기대
  • 의료계 반발

정부가 20-30년간 이어진 검사비 구조를 개편하려 한다.

  • 현재 병·의원이 검사센터에 의뢰하면 110%를 받는다.
  • 새 제도에서는 관리료 10%를 없애고 분리 청구를 도입한다.
  • 환자 부담은 감소할 가능성이 있으며, 검사센터는 단가 상승이 기대된다.
  • 의료계는 협의 부족을 이유로 반발하고 있다.

정부는 오래된 ‘검사비 110%’ 관행을 개선하려고 한다.

이는 검사센터와 병·의원이 각각 자신 몫을 청구하는 방식으로 전환된다.

  • 현재 구조는 병·의원이 검사센터에 검사를 맡기면 110%를 지급받고, 관리료 10%를 챙긴다.
  • 경쟁 과열로 검사센터의 할인 계약이 늘어 장비 노후화 우려가 제기되었다.
  • 새 제도에서는 환자의 검사비 부담이 약 9% 줄어들 가능성이 있다.
  • 진단검사의학회는 질 개선을 위해 정부 방침을 지지한다.
  • 의료계는 충분한 협의 없이 일방적이라며 반발 중이다.
정부, 수십 년 이어진 ‘검사비 110%’ 관행 손질
환자 부담 줄이고 검사센터는 숨통 트일까
의료계 반발 속, 제도 개편 향방에 관심 집중
검사비 관행 손질
출처 : 연합뉴스

동네 병·의원에서 흔히 받는 피검사나 소변검사 비용 구조가 곧 달라질 전망이다.

20~30년 이상 이어진 ‘위탁검사 관행’을 정부가 손보겠다고 나서면서 진료 현장과 환자 모두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검사비 110%’의 오래된 공식, 정부가 손본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정부의 검사비 개편이 효과적일까?

현재 병·의원이 검사센터에 검사를 맡기면, 건강보험공단은 검사비의 110%를 병·의원에 지급한다. 이 중 10%는 ‘관리료’로 남기고 나머지 100%를 검사센터에 넘긴다.

하지만 경쟁이 과열되며 검사센터가 절반가량을 할인해 주는 계약이 늘었고, 이는 장비 노후화와 검사 신뢰도 저하로 이어졌다는 비판이 꾸준했다.

검사비 관행 손질
출처 : 연합뉴스

보건복지부는 이런 구조를 바꾸기 위해 관리료 10%를 없애고, 병·의원과 검사센터가 각자 자신 몫만 따로 청구하는 ‘분리 청구’ 제도를 추진 중이다.

💡 검사비 110% 관행이란 무엇인가요?

검사비 110% 관행은 병·의원이 검사센터에 검사를 의뢰할 때 건강보험공단으로부터 검사비의 110%를 받는 구조입니다.

  • 이 중 10%는 병·의원의 관리료로 남습니다.
  • 나머지 100%는 검사센터에 지급됩니다.

복지부는 “공정한 시장 질서와 환자 안전을 위한 조치”라며, 할인 관행이 계속되면 처벌 규정도 마련하겠다는 입장이다.

의사들은 반발, 정부는 ‘질 개선’ 강조

그렇다면 환자 부담은 어떻게 변할까.

총 지급액이 110%에서 100%로 낮아지면 건강보험 본인부담률이 같다는 전제하에 환자가 병·의원에서 내는 금액도 약 9%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 다만 실제 체감폭은 세부 청구 방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검사비 관행 손질
출처 : 연합뉴스

반면 검사센터는 상황이 다르다. 병·의원과의 할인 계약이 사실상 금지되면 실수령 단가는 오를 수 있다.

그간 과도한 가격 경쟁으로 장비 유지나 인력 투자가 어려웠던 구조가 개선될 것이란 기대도 있다. 진단검사의학회는 “검사의 질과 환자 안전을 위해선 정상적인 수가 체계가 필요하다”며 정부 방침을 지지했다.

의료계는 반발하고 있다. 대한의사협회는 “충분한 협의 없이 정부가 일방적으로 제도를 밀어붙이고 있다”며 “문제의 원인은 검사센터의 과열 경쟁인데, 병·의원에 책임을 전가했다”고 비판했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누가 더 버느냐’가 아니라 ‘검사 신뢰를 어떻게 되살리느냐’다. 혼란은 있겠지만, 환자에게 더 안전한 검사 환경으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세부안 확정 전까지는 논의 추이를 지켜봐야 한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 독자 의견 결과

정부의 검사비 개편이 효과적일까?
효과적이다 93% 효과적이지 않다 7% (총 15표)

관심 집중 콘텐츠

애플 사상 최고가

“韓 기업들 ‘돈벼락’ 터졌다”…’2,000만 개’ 미친듯이 팔리더니, 삼성·LG까지 ‘발칵’

더보기
실손24 전면 확대

“내일부터 전국 시작”…정부가 ‘1분’ 만에 돈 받는 법 풀자, 50·60 ‘함박웃음’

더보기
삼성전자 선대회장

“삼성을 통째로 뒤엎어라”…황무지에서 ‘반도체 왕국’ 일군 故 이건희 회장의 ‘선견지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