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항공·KAI, 군 헬기 사업 격돌
1조 원 규모 블랙호크 성능개선
수출까지 노리는 기술 경쟁 주목

“우리 기술로 헬기를 개선한다니 괜히 든든하다”, “군 헬기를 직접 손본다니 더 믿음이 간다”
1조 원 규모의 군 헬기 성능개선 사업을 두고 대한항공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치열한 경쟁에 돌입했다.
대상 기체는 우리 군이 1990년대부터 운용해온 UH/HH-60 블랙호크 헬기로, 노후된 전자장비와 엔진을 업그레이드하고 기체 구조를 개선하는 작업이 이번 프로젝트의 핵심이다.
업계에선 이 사업이 단지 헬기를 개량하는 수준을 넘어, 향후 수출 가능성까지 열어줄 수 있는 계기로 평가하고 있다.
블랙호크 속속들이 꿰뚫은 30년 베테랑의 자신감

대한항공은 1991년부터 UH-60 정비와 성능개량을 맡아온 경험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오랫동안 축적한 운용 노하우와 숙련된 정비 기술을 활용해, 블랙호크의 기체 특성과 장비 문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한다.
특히 원제작사 시콜스키(현 록히드 마틴 자회사)와의 협력으로, 항공전자 시스템부터 구조 개조까지 안정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여기에 미국 콜린스, 국내 LIG넥스원 등과도 손잡아 일괄적인 개선 프로세스를 구축했다.
수출 경험·글로벌 협업으로 경쟁력 강화

반면 KAI는 국산 헬기 개발의 주역으로, 수리온과 미르온을 직접 설계·제작하며 쌓은 기술력을 강점으로 내세운다.
설계 해석, 감항 인증, 시험 과정을 모두 자체적으로 진행할 수 있어 예산과 시간 면에서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설명이다. 지난해 수리온을 이라크에 수출한 경험도 거론된다.
단지 국내 운용에 머무르지 않고, 해외 시장에서도 통할 수 있는 기술 경쟁력을 입증했다는 것이다. KAI는 한화시스템, 이스라엘 엘빗시스템즈와 협력해 항공전자 장비 등 핵심 분야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운용 경험이 풍부한 대한항공과, 개발 노하우가 탄탄한 KAI가 맞붙은 이번 경쟁은 업계 전반의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결과에 따라 국내 헬기 산업의 향방은 물론, 국제 방산 시장에서의 입지도 크게 바뀔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방위사업청은 제안서 검토와 실사 등을 거쳐 이달 말 우선협상대상자를 선정할 예정이다.
어느 쪽이 최종 주인공이 될지, 그리고 그 선택이 우리 군과 방산업계에 어떤 변화를 가져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가자 대한민국 앞으로 앞으로
드론이나 개발해라 지금시대에 헬기를 만지작거리면 어쩌자는거야
짱깨쎄쎄가 꼭 삐딱선타는놈들이 있네
헬기는 헬기대로 드론은 드론대로 개발하면 되는거지. 태클을 걸대다 걸어라.한심하긴~
물먹기전문기업kai 이사업도 물먹는다ㅎㅎ
무기 장비의 업그레이드 중요 합니다 !
그러나 더 시급하고 중요한것은 정부내의 빨깽이넘들
무기 장비의 업그레이드 중요 합니다 !
그러나 더 시급하고 중요한것은 정부내의 빨깽이 넘들을 제거하는것 입니다 !
고정간첩 소탕작전해야 니거미니죄몽이도 조사혀봐야
수라온 시즌2 아니기만을 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