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메뉴가 왜 이래요?”, “줄 서도 못 먹어”…학교도 기업도 ‘아우성’

치킨 원가 흔든 브라질, 순살 메뉴 비상
배달 의존 높은 시장, 가격 인상 불가피
정부 대책은 더딘데, 주가는 벌써 반응
국내 치킨 시장
출처: 연합뉴스

연간 7조 원 이상 규모의 국내 치킨 시장이 흔들리고 있다.

브라질 양계장에서 발생한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한 닭고기 수출 중단이 그 원인이다.

한국 닭고기 수입의 80%를 차지하는 브라질의 60일간 수출 중단 발표가 국내 치킨 산업에 비상이 걸렸다.

브라질 닭고기 멈추자, 치킨 생태계 휘청…급식까지 먹구름

국내 수만 개의 치킨 전문점이 경쟁하는 시장에서, 원재료 공급 차질은 단기적인 문제를 넘어 산업 생태계 전체를 위협하는 심각한 위기다.

국내 치킨 시장
출처: 연합뉴스

특히 전체 매출의 40% 이상이 배달을 통해 이뤄지는 현 구조에서, 닭고기 가격 상승은 소비자 부담 증가와 업계 수익성 악화로 직결된다.

타격이 가장 큰 것은 순살 치킨 메뉴다. 주요 프랜차이즈 다수가 가격 경쟁력이 높은 브라질산 닭고기를 순살 메뉴의 주 원료로 사용해 왔기 때문이다.

이에 순살 메뉴 매출 비중이 80%를 넘는 브랜드들은 이미 비상 대책 마련에 나섰다. 그러나 브라질산 재고가 두 달치도 확보되지 않은 업체가 대부분이어서, 수급 안정화가 지연될 경우 판매 중단이나 가격 인상은 불가피해 보인다.

일부 브랜드는 국내산이나 태국산으로 공급선을 급히 전환했지만, 이 역시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기 어렵다.

국내 치킨 시장
출처: 연합뉴스

국내 생산량은 제한적이고, 태국 등 다른 수입국의 물량만으로는 브라질산 공백을 메우기 역부족이기 때문이다. 저렴한 브라질산 닭고기에 의존해온 학교와 기업 급식 업계도 대체 식단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임시처방으론 부족…닭고기 위기, 구조 대응 시급

최근 정부는 수입선 다변화와 국내 병아리 입식 확대, 종란 수입 규제 완화 등 다방면의 대책을 꺼내들었지만, 이 역시 시간이 걸리는 문제다.

한편, 시장은 이미 반응하고 있다. 국내 닭고기 생산업체들의 주가는 상승세를 타고 있는데, 이는 수입 감소로 인한 공급 부족과 그에 따른 가격 상승 가능성을 시장이 예측한 결과다.

이제는 단기적 대응을 넘어, 반복될 수 있는 공급 리스크에 대한 구조적인 대비가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의 안일한 대처는 더 큰 위기를 불러올 수 있다는 점을 명심해야 할 때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3

  1. 또 가격 올릴 핑계 찾았구나.
    수입 다시 원활하게 된다 하더라도
    한번 올린 가격은 다시 내리지 않는게
    우리나라 프렌차이즈 업체들 수법이지.

  2. 수입이 불안정해지고 수입원가 올랐단 이유로 판매가격 올리고나면 그 다음은?? 다시 브라질에서 수출 안정화되고 한국에서도 안정적으로 수입하며 예전 수입가격으로 내려왔다고 한들, 다시 가격 낮춘 브랜드 있었냐?

  3. 수입이 안정화되고 수입가격 돌아온 후엔 어떻게 할건데?? 온갖 핑계로 가격 올린 뒤 다시 가격 내린 브랜드 있었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