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보] “청와대도 용산도 아니었다”…차기 대통령 집무실, 선호도 봤더니 ‘세상에나’

댓글 20

네티즌들 세종시 집무실 압도적 지지
“도청당했다” 용산·청와대 보안 논란
균형발전과 행정 효율성 주된 이유
대통령
차기 대통령 집무실 선호도 / 출처 : 연합뉴스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이 선고되면서 온라인 커뮤니티에서는 차기 대통령 집무실 위치에 대한 의견이 쏟아졌다.

뜻밖에도 청와대도, 용산도 아닌 ‘세종시’가 압도적 지지를 받으며 네티즌들의 선호도 1위를 차지했다. 과연 이들이 세종시를 압도적으로 지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압도적 지지 받는 세종시 집무실…”균형발전과 행정 효율성이 핵심”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가 되면서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차기 대통령 집무실 선호도 댓글을 분석한 결과, 압도적 다수가 세종시를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청와대와 용산 집무실이 보안 문제로 여러 논란을 겪은 가운데, 세종시 집무실은 국가 균형발전과 행정 효율성 측면에서 큰 지지를 얻고 있다.

대통령
차기 대통령 집무실 선호도 / 출처 : 연합뉴스

세종 대통령 집무실의 가장 큰 장점은 국가균형발전 촉진이다. 수도권 중심의 행정 구조를 탈피하고 지방과 수도권 간 균형 발전을 이룰 수 있다는 점이 주된 이유다.

세종시는 이미 10개 중앙부처와 6개 정부 기관이 위치한 행정중심복합도시로, 대통령 집무실이 추가되면 정부 부처 간 협업이 용이해지고 국정 운영의 효율성이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한 도시계획 전문가는 “세종 집무실은 대통령 관저, 비서동, 경호동, 미디어 공간 등이 밀집된 형태로 설계되어 이동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며 “이는 기존 청와대와 용산 집무실보다 실용적이고 현대적인 공간 활용을 가능하게 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세종시는 서울보다 교통 혼잡이 적고, 전국적으로 접근성이 뛰어난 위치에 있어 대통령 집무실 운영에 유리한 조건을 갖추고 있다. 세종 집무실은 개방성을 고려한 설계로 국민과의 소통을 확대할 수 있는 환경도 제공할 예정이다.

용산과 청와대에 대한 불신?

대통령
차기 대통령 집무실 선호도 / 출처 : 연합뉴스

세종시에 대한 압도적 지지는 기존 청와대와 용산 집무실의 보안 문제에 대한 불신에서 비롯된 측면도 있다.

용산 대통령 집무실은 윤 정부 출범과 함께 큰 기대를 모았지만, 현실에서는 여러 한계점이 드러났다. 용산 집무실의 주요 장점은 국민과의 소통 강화와 제왕적 대통령제 이미지 탈피, 경호 및 보안 측면에서 유리한 점 등이 꼽혔다.

용산 집무실은 국방부 청사와 인접해 있어 국가위기관리센터를 합참 벙커와 연결할 수 있는 구조도 강점으로 평가받았다.

그러나 막대한 이전 비용과 교통 혼잡, 국민과의 거리감, 안보 공백 우려, 상징성 부족 등은 단점으로 지적됐다. 특히 초기 예상 비용인 500억 원을 훨씬 초과하여 1조 원 이상이 소요됐다는 지적도 있어 논란이 됐다.

대통령
차기 대통령 집무실 선호도 / 출처 : 연합뉴스

청와대는 1948년부터 대한민국 대통령의 집무실과 관저로 사용된 역사적 장소다. 역사적 상징성과 전통, 보안과 안전성, 공간의 다양성, 자연과의 조화 등이 주요 장점으로 꼽힌다.

특히 150,000개의 푸른 기와로 이루어진 독특한 지붕은 한국의 전통과 현대를 연결하는 상징적인 요소로 평가받는다.

그러나 청와대는 폐쇄성과 소통 부족, 역사적 논란, 운영 비용, 안보 취약점 등이 단점으로 지적돼 왔다. 산으로 둘러싸인 고립된 위치가 국민과의 소통을 어렵게 한다는 비판과 함께, 청와대 부지가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 관저로 사용되었던 역사적 배경도 논란의 대상이었다.

세종 집무실 현실화될까…”3800억 원 예산과 정치적 난관”

세종 집무실이 네티즌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는 한편, 이를 실현하기까지는 여러 난관이 존재한다. 무엇보다 약 3800억 원 이상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추산되어 국가 재정에 부담이 될 수 있다. 비록 초기 예상 비용보다 축소되었지만, 여전히 큰 규모의 예산이 필요하다.

대통령
차기 대통령 집무실 선호도 / 출처 : 연합뉴스

또한 현재 세종 집무실은 제2집무실로 계획되고 있으며, 완전 이전은 국민적 합의가 필요하다. 따라서 서울과 세종 간 이원화된 운영 체제가 지속될 가능성도 있다.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시설이 분리되어 있는 만큼, 서울에서 이루어지는 외교 및 주요 행사와의 연계성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더불어 2027년 완공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정치적 상황 및 예산 배정 문제로 인해 건립 일정이 지연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특히 정권 교체 시 이에 대한 정책 방향이 바뀔 수 있어 지속적인 추진력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다.

결국 대통령 집무실 위치 선정은 국가균형발전, 행정 효율성, 보안, 상징성, 비용 등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문제다. 온라인 여론에서 세종시가 압도적 지지를 받고 있지만, 실제 결정은 더 폭넓은 국민적 합의와 정치적 결단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2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20

  1. 최소비용으로 최대효과 청와대로 가자.
    2찍들아 내란반란죄 간신들는 조용히 떠나라
    내란반란죄당는 공중분해 개검조작수사 들는
    해채,개혁후 다시모여, 국민위군림는 끝.좀비쓰례기들 권력을 완전삭제, 국민들 닦어라.

    응답
  2. 최소비용으로 최대효과 청와대로 가자.
    2찍들아 내란반란죄 간신들는 조용히 떠나라
    내란반란죄당는 공중분해 개검조작수사 들는
    해채,개혁후 다시모여, 국민위군림는 끝.좀비쓰례기들

    응답
  3. 중앙으로 옮기자. 청와대와 용산은 북한과도 가깝고, 과밀이다. 국토 균형발전의 마지막 기회다.

    응답

관심 집중 콘텐츠

HD현대건설기계 성장

“한국산 위력에 온 세계가 감탄”…’아프리카 금광’까지 뚫고 “수천억 잭팟” 터뜨렸다

더보기
불법 드론 감시단

“이런 분들한테 세금 줘야지”…’월 76만 원’ 받고 나라 지키는 ‘어르신들’ 사연에 ‘감동’

더보기
카카오 기부

각박한 세상이라더니 “수백만 명 모여 ‘뭉클'”…한국인 情이 “기적 또 이뤘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