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기아 협력사 매출 90조 원 돌파
22년 만에 4배 증가로 100조 시대 눈앞

현대차·기아의 1차 협력사들이 지난해 처음으로 매출 90조 원을 돌파하며 새로운 역사를 썼다.
지난, 2001년 21조 원이었던 매출이 22년 만에 4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협력사들은 매출 성장뿐 아니라 재무 건전성도 크게 개선하며 글로벌 자동차 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자리매김했다.
협력사 매출 90조 첫 돌파…2·3차 포함 시 100조 상회

현대차·기아는 지난 21일, 직접 부품을 납품하는 1차 협력사들 중 중소·중견기업에 해당하는 237개사의 2023년 매출액이 90조 2,97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는 현대차의 2023년 매출액 78조 338억 원보다 12조 원 이상 많은 규모이며, 현대차·기아 합산 매출액 136조 5,537억 원과 비교해도 66% 수준에 달한다.
분석 대상은 현대차·기아의 국내 1차 협력사 중 현대차그룹 계열사와 매출 의존도가 10% 미만인 업체, 부품 비전문업체 등을 제외한 237개 중소·중견 부품업체들이다. 5,000여 개에 달하는 2·3차 협력사의 매출액까지 더하면 100조 원을 크게 상회할 것으로 추정된다.
협력사 체질 개선…대형화·재무건전성 ‘두 마리 토끼’

협력사들은 대형화와 재무건전성 개선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았다.
2001년 733억 원이었던 기업별 평균 매출액은 2013년 2,391억 원으로 늘었고, 2023년에는 3,810억 원으로 5.2배 증가했다. 또한, 매출 1,000억 원 이상 기업도 2001년 62개사(21%)에서 2023년 160개사(68%)로 크게 늘었다.
상장사 수도 크게 증가했다. 거래소와 코스닥시장에 상장된 협력업체는 2001년 46개사에서 2023년 말 70개사로 늘었고, 시가총액은 같은 기간 1.5조 원에서 17.4조 원으로 11.6배 급증했다.
기업별 평균 자산규모는 509억 원에서 3,378억 원으로 6.6배 커졌고, 평균 부채비율은 152%에서 110%로 42%포인트 낮아졌다.
경제 파급효과 237조…60만명 고용 창출

한편, 현대차·기아와 협력사의 동반 성장은 국가경제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한국은행 산업연관표를 활용해 분석한 결과, 협력사 매출액 기준 생산유발효과는 237조 8,000여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는 55조 6,000여억 원에 달했으며, 취업유발효과는 60만명을 넘어섰다.
또한, 현대차·기아는 협력사와의 동반성장을 위해 다각적인 지원에 나서고 있다. 총 2조 3,708억 원 규모의 상생협력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설과 추석에는 2조 원 이상의 납품 대금을 조기 지급한다.

이와 함께, 2·3차 협력사를 위해서는 1,000억 원 규모의 공급망 안정화 기금, 2,000억 원 규모의 전용 상생펀드, 2,700억 원 규모의 공동 프로젝트 보증 프로그램을 별도로 운영하고 있다.
해외 동반진출도 적극 지원한다. 1997년까지 34개사에 불과했던 해외진출 1·2차 협력사는 2023년 690개사로 늘었다.
이에, 현대차·기아는 안정적인 물량 제공은 물론 해외진출 컨설팅, 인허가 지원, 협력회 운영 등을 통해 협력사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돕고 있다.
현대치가 최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