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만의 최악 상황 터졌다”… 믿기 힘든 소식에 자동차 업계 ‘패닉’

신차 시장 11년 만에 ‘최악’
내연기관 급감, 전기차도 주춤
하이브리드만 홀로 ‘선방’
전기차 캐즘 내년 회복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국내 신차 시장이 11년 만에 최저 수준으로 위축됐다. 올해 신차 등록 대수는 약 164만 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지난 2013년 이후 가장 적은 수치다.

경기 부진과 고금리로 소비심리가 얼어붙은 가운데, 내연기관차 수요 급감과 전기차 성장 정체가 맞물리며 악재가 이어졌다.

전기차 정체, 캐즘 현상 뚜렷

17일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1∼11월 국내 신차 등록 대수는 149만8,331대로, 지난해 같은 기간 159만6,004대에 비해 6.1% 감소했다.

특히 내연기관차의 수요 급감이 두드러진다. 휘발유차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5% 줄어든 62만7,835대를 기록했고, 경유차는 무려 57.0% 급감해 11만7,931대에 그쳤다. 두 차종에서만 약 30만 대가 사라진 셈이다.

전기차 캐즘 내년 회복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내연기관차의 빈자리를 메워야 할 친환경차는 기대만큼 늘지 못했다. 하이브리드차는 45만5,468대로 역대 최다 등록을 기록했지만, 증가폭은 지난해 대비 28.8%에 그쳤다.

전기차는 상황이 더 심각하다. 올해 1∼11월 등록 대수는 13만8,921대로 지난해 14만9,857대에 비해 오히려 7.3% 감소했다. 전기차 수요가 정체되는 ‘캐즘(Chasm)’ 현상이 국내 시장에서 뚜렷하게 나타난 셈이다.

내년 소폭 회복 가능성 보여… 하이브리드가 주요 동력

이 같은 상황의 배경에는 경기 부진과 고금리 기조가 자리하고 있다. 올해 하반기 임금 및 단체협상에 따른 생산 차질도 일부 영향을 미쳤다.

국내 신차 시장은 2015년 처음으로 180만 대를 넘었고, 2020년에는 코로나19 특수로 190만6,000대까지 증가했다. 하지만 이후 내리막길을 걸으며 2021년 173만5,000대, 2022년 168만4,000대, 지난해 172만 대를 기록했다.

전기차 캐즘 내년 회복
출처: 연합뉴스(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

다만 내년에는 올해보다 소폭 회복될 가능성이 점쳐진다. 한국자동차모빌리티산업협회는 내년 국내 신차 등록 대수가 올해보다 1.3% 증가한 166만 대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심리 개선과 함께 하이브리드차 판매 증가가 회복의 동력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전기차 시장의 성장세가 여전히 정체되어 있는 만큼 친환경차 확대를 위한 전략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