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에선 값만 올리더니”…중국선 ‘이것’까지 공짜, “완전 다른 차 됐네”

댓글 0

📝 AI 요약 보기

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중국형 하이랜더는 실내 혁신.
  • 북미와 한국은 가격만 상승.
  • 지역별 체감 차이 크다.

토요타 하이랜더의 지역별 모델 차이가 주목받고 있습니다.

  • 중국형은 대형 스크린과 버튼 최소화로 혁신적.
  • 북미와 한국은 큰 변화 없이 가격만 올라.
  • 중국 소비자들이 더 나은 실내 경험을 누림.

토요타 하이랜더는 지역별로 다른 모습을 보여줍니다. 중국에서는 실내 디자인에 혁신을 더하고 있습니다.

반면, 북미와 한국에서는 큰 변화 없이 가격만 오르고 있습니다.

  • 중국형은 15.6인치 대형 디스플레이와 버튼 최소화로 차별화.
  • 북미형은 가격 상승 외에 큰 변화가 없음.
  • 한국형 하이랜더는 하이브리드 버전이 도입되었지만, 실내 혁신은 미반영.
  • 중국 소비자들은 고급 옵션과 실내 디자인을 누리고 있음.
중국형 하이랜더, 초대형 스크린에 고급 인테리어
북미·한국은 값 오르는데 실내 변화 적어
같은 SUV라도 지역별 체감 격차 뚜렷
중국형 하이랜더 업그레이드
출처 : 토요타

토요타의 대표 패밀리 SUV 하이랜더가 북미와 한국에서는 가격만 치솟고 변화가 미미한 반면, 중국에서는 대대적인 실내 혁신을 통해 소비자들의 시선을 끌고 있다.

최근 공개된 중국형 하이랜더는 15.6인치 대형 디스플레이를 전 트림에 기본 탑재하고, 물리 버튼을 과감히 없애며 최신 전자기기 같은 감각을 구현했다.

북미와 한국에서 판매되는 모델이 여전히 작은 화면과 전통적인 조작 방식을 유지하는 것과는 대비된다.

중국형 하이랜더, ‘거대한 스크린과 버튼 최소화’로 실내 혁신

중국 시장용 하이랜더는 대시보드를 새롭게 설계해 넓은 화면이 차지할 공간을 확보했다. 공조 장치도 터치스크린으로 통합해 깔끔하고 단순한 인상을 준다.

중국형 하이랜더 업그레이드
중국 판매용 하이랜더 / 출처: 토요타
중국형 하이랜더 업그레이드
북미 판매용 하이랜더 / 출처 : 토요타

여기에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이 기본 장착되고, 무선 충전 속도를 높인 패드, 색상이 다양해진 나파 가죽 시트가 더해지면서 실내 경쟁력이 한층 강화됐다.

상위 모델로 가면 파노라마 루프와 전동·열선 뒷좌석, JBL 오디오 시스템까지 적용된다.

💡 중국형 하이랜더의 실내 혁신이란 무엇인가요?

중국형 하이랜더는 실내에서 대대적인 변화를 통해 혁신을 이뤘습니다.

  • 15.6인치 대형 디스플레이가 전 트림에 기본 장착되었습니다.
  • 물리 버튼을 최소화하고 터치스크린으로 공조 장치를 통합했습니다.
  • 12.3인치 디지털 계기판과 고급 나파 가죽 시트가 실내 경쟁력을 높였습니다.

반면 북미와 한국의 하이랜더는 상황이 다르다. 북미형은 2026년형 모델이 출시됐지만 엔진 구성은 그대로이고, 입문 트림 삭제로 인해 가격이 오히려 크게 올랐다.

한국은 지난해부터 하이브리드 버전이 도입돼 판매 중이지만, 중국판에서 보여준 대형 스크린과 버튼 없는 대시보드 같은 변화는 반영되지 않았다. 결국 중국 소비자들이 더 진보된 경험을 누리는 셈이다.

중국형 하이랜더 업그레이드
출처 : 토요타

흥미로운 점은 가격 차이다. 중국에서 판매되는 하이랜더는 약 3만5천 달러에서 4만5천 달러 사이에 형성돼 있다.

미국과 한국에서는 비슷하거나 더 높은 가격대지만, 오히려 화면 크기나 옵션에서는 중국 모델이 우위에 있다. 같은 차를 사면서도 지역에 따라 누리는 혜택이 달라지는 셈이다.

파워트레인은 그대로, 그러나 체감 차이는 실내에서 갈린다

물론 파워트레인은 지역에 상관없이 크게 다르지 않다. 2.0리터 터보 가솔린 엔진과 2.5리터 하이브리드가 그대로 유지되고, 구동 방식 역시 전륜구동과 사륜구동 선택지가 동일하다.

그러나 소비자 입장에서 매일 눈에 띄는 부분은 외부보다 실내다. 그렇기에 중국 시장에 맞춘 이번 변신이 더욱 주목받는다.

중국형 하이랜더 업그레이드
출처 : 토요타

토요타는 이미 중국에서 차세대 하이랜더에 대규모 업그레이드를 예고하며 주행거리 확장형 파워트레인 도입을 검토 중이다. 북미에서는 전기차 버전 출시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지만, 아직 구체적 일정은 공개되지 않았다.

같은 이름의 SUV가 지역마다 다른 얼굴을 하고 있다. 소비자들은 더 넓은 화면과 최신 기술이 빠르게 적용된 중국형 하이랜더를 보며 부러움을 느낄 수밖에 없다.

앞으로 한국과 북미에서도 이 같은 변화가 이어질지, 아니면 또다시 가격만 오르는 흐름이 반복될지 지켜봐야 할 때다.

0
공유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