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침내 모습 드러낸 초고속 충전기 “휘발유 차 안 부럽다”…전기차 시장 ‘지각변동’

“서울-부산 왕복 거리, 주유 시간으로 충전”
LFP 배터리 한계 뛰어넘은 냉각 시스템 혁신
테슬라·벤츠·BMW 등 글로벌 업체들 뒤처져
BYD Quick Charging System Unveiled
BYD ‘슈퍼 e-플랫폼’ 공개 (출처-연합뉴스)

세계 최대 전기차 업체인 중국 비야디(BYD)가 5분 충전으로 470km를 주행할 수 있는 급속 충전 시스템을 내놓으면서 전기차 시장이 다시 술렁거리고 있다.

이는 일반 내연기관 차량의 주유 시간과 맞먹는 초고속 충전 속도로, 전기차의 가장 큰 단점으로 꼽히던 충전 시간 문제를 획기적으로 해결했다는 평가다.

내연기관 주유 속도에 견줄만한 혁신적인 충전 시스템

BYD Quick Charging System Unveiled (2)
BYD ‘슈퍼 e-플랫폼’ 공개 (출처-BYD)

파이낸셜타임스(FT)는 현지시간으로 19일, BYD가 새로운 슈퍼 e-플랫폼 충전 시스템을 통해 업계 경쟁에서 선두로 올라섰다고 보도했다.

BYD의 새로운 충전 시스템은 1,000kW로 최대 1,000 암페어의 용량으로 충전한다. 이는 초당 약 2km의 주행거리를 충전하는 속도로, 5분 내로 470km의 주행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이는 서울과 부산 왕복 거리에 해당하는 전력을 주유소에서 기름을 넣는 시간과 비슷하게 충전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BYD Quick Charging System Unveiled (3)
BYD 차량에 탑재된 배터리 (출처-연합뉴스)

특히 주목할 만한 점은 이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충전 속도가 느린 것으로 알려진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를 사용했다는 점으로 BYD는 더 정교한 배터리 냉각 시스템을 활용해 서방 업체들보다 충전 속도를 크게 향상시켰다.

사모펀드 모빌리티 임팩트 파트너스의 샤이 나타라잔 대표는 “BYD가 서방 업체들에 비해 더 정교한 배터리 냉각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다”면서 “이를 통해 충전 속도가 훨씬 더 빨라졌다”고 말했다.

또한 BYD는 고체 전해질 기술을 통해 배터리 성능을 더욱 개선했고, 이에 따라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속도에서 큰 발전을 이룬 것으로 평가된다.

BYD Quick Charging System Unveiled (4)
BYD ‘슈퍼 e-플랫폼’ 공개 (출처-BYD)

아울러 전기차에 1,000V, 1,000A의 고출력 충전을 견딜 수 있는 실리콘 카바이드 파워 모듈을 장착했고, 전력 시스템 전압이 높아지면서 모터가 최대 3만 RPM까지 작동할 수 있게 됐다.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 충격을, 경쟁사들 뒤처져

BYD Quick Charging System Unveiled (5)
BYD ‘슈퍼 e-플랫폼’ 공개 (출처-BYD)

BYD의 이 기술은 안전성과 배터리 수명, 초고속 충전기 설치와 관련 비용 등 업계의 몇 가지 주요한 문제점을 극복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이는 전기차가 내연기관차에 비해 충전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장거리 여행 시 주행거리 부족으로 불안하다는 기존의 지적을 해소할 수 있는 중요한 진전이다.

이에 비해 오랜 기간 전기차 분야에서 선두를 유지해온 미국 테슬라의 경우, 세계에서 가장 큰 충전 네트워크인 슈퍼차저 시스템을 사용하지만 15분 충전해야 320km의 주행거리를 낼 수 있어 성능이 훨씬 떨어진다.

BYD Quick Charging System Unveiled (6)
테슬라 충전소 (출처-연합뉴스)

또한 다른 자동차 제조업체들의 상황도 크게 다르지 않다. 독일 메르세데스-벤츠는 최근 고속 충전소를 이용해 10분 이내에 최대 325km까지 충전할 수 있는 새 전기차 모델 CLA 소형 세단을 공개했다.

이와 함께 BMW도 30% 빨리 충전하는 새 배터리를 내놓았지만 10분 충전에 주행거리가 300km 정도다. 중국 내 배터리업체 CATL의 제품 성능이 그나마 나아서 10분 충전에 600km를 주행하는 배터리를 공개한 바 있다.

성장하는 BYD, 업계 판도 변화 예고

BYD Quick Charging System Unveiled (7)
BYD 왕촨푸 회장 (출처-뉴스1)

왕촨푸 BYD 회장은 발표회에서 이 새로운 EV 플랫폼을 탑재한 차량이 정지 상태에서 100km/h까지 단 2초 만에 도달할 수 있으며, 최대 속도는 300km/h에 이른다고 밝혔다.

앞서 왕 회장은 지난달 10일 전 차종에 자율주행 시스템 ‘신의눈'(天神之眼)을 탑재해 ‘전 국민 자율주행 시대’를 열겠다고 밝힌 바 있다.

블룸버그 인텔리전스의 중국 자동차 분석가 조안나 첸은 “이 첨단 EV 파워트레인은 BYD의 차세대 자동차 수요를 더욱 끌어올릴 수 있다”며 “이는 새로운 모델 출시의 물결을 시작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BYD Quick Charging System Unveiled (8)
BYD (출처-연합뉴스)

또한 컨설팅 회사 시노 오토 인사이트의 투 르 설립자는 BYD의 고속 충전 시스템과 자율주행 시스템으로 글로벌 자동차 업계의 압박이 크게 높아졌다면서 “BYD는 몇몇 글로벌 업체를 폐업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전망했다.

한편 업계에서는 BYD의 경쟁사들이 향후 몇 년 내로 BYD 충전 속도에 따라잡을 것으로 보고 있지만, 현재로서는 중국 전기차 제조업체의 기술력이 글로벌 자동차 시장의 판도를 바꾸고 있음이 분명해 보인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심 집중 콘텐츠

Hyundai next-generation hybrid system

“전기차 불안하면 답은 이거죠”…현대차그룹 깜짝 공개에 업계 ‘이목 집중’

더보기
US 2025 Best Hybrid and EV Awards

이게 바로 현대차 실력? “‘최고의 차’ 만들었다” 찬사…애호가들도 흠뻑 빠졌다

더보기

팰리세이드 대박나더니…”결국 중대 결단 내린 현대차”…기존 차주들 어떡해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