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반떼 엉덩이 왜 이래요?”…아반떼 풀체인지 예상도 뜨자, 네티즌들 ‘갑론을박’

아반떼 풀체인지 예상도 공개에 찬반 팽팽
현대, 수직 테일램프로 정체성 실험 나서
고급감 더한 후면 디자인, 시장 반응은 미지수
아반떼 디자인 예상도 논란
출처 : 연합뉴스·유튜브 채널 ‘뉴욕맘모스’

2026년 하반기 출시 예정인 현대자동차 아반떼 풀체인지 모델의 예상도가 공개된 후, 파격적인 디자인 변화를 둘러싼 갑론을박이 뜨겁게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직 테일램프에 쏠린 시선… “혁신” vs “조잡” 극과 극 반응

이번 디자인 변화의 핵심은 현대자동차의 디자인 철학 전환에 있다. 현행 모델이 추구했던 ‘파라메트릭 다이나믹스’는 날카로운 선과 기하학적 조형을 통해 젊고 공격적인 인상을 강조하는 데 집중했다.

새롭게 공개된 후면부 예상도는 그랜저와 쏘나타에 먼저 적용된 ‘심리스 호라이즌’ 디자인을 따르며, 복잡한 선을 덜고 수평·수직 비율을 강조해 시각적 자극보다 세련된 균형감에 집중했다.

가장 극명한 평가가 엇갈리는 부분은 단연 테일램프다. 기존의 좌우 연결형 가로 램프가 주는 안정감과 정체성을 과감히 버리고, 현대 로고를 재해석한 수직형 램프를 양 끝단에 분리 배치했다.

아반떼 디자인 예상도 논란
출처 : 유튜브 채널 ‘뉴욕맘모스’

이는 아이오닉 시리즈를 연상시키는 디지털 감성과 하이테크 이미지를 부여한다는 긍정적 평가와 함께, 기존 아반떼가 쌓아온 시각적 연결성이 사라져 어색하다는 비판적 시각이 공존한다.

온라인에서는 “차라리 지금이 낫다”는 의견부터 “기아 K8의 뒷모습이 떠오른다”는 반응까지 다양한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젊은 아반떼는 잊어라”… 성숙함 더한 후면 디자인의 변신

후면부의 다른 디테일 역시 큰 변화를 예고한다. 복잡한 삼각형 면과 날카로운 캐릭터 라인이 자리를 내준 자리에는 유연한 곡면과 근육질의 볼륨감을 강조한 리어 펜더가 자리 잡아 한층 고급스럽고 안정적인 인상을 준다.

특히 범퍼 하단을 넓은 면적의 블랙 하이그로시 또는 다크 크롬으로 처리하고 번호판 위치를 하단으로 이동시킨 것은 스포츠카와 같은 시각적 무게중심과 비례감을 연출하려는 시도다.

아반떼 디자인 예상도 논란
출처 : 유튜브 채널 ‘뉴욕맘모스’

루프라인은 유지하면서도 C필러의 플라스틱 마감을 유리(쿼터 글래스)로 대체한 점은 개방감과 고급감을 동시에 고려한 대목이다.

아반떼 디자인 예상도 논란
출처 : 연합뉴스

이러한 변화는 아반떼가 기존의 ‘젊고 도전적인’ 이미지를 넘어, 브랜드 안에서 보다 성숙하고 균형 잡힌 디자인 정체성을 확립하려는 신호로 읽힌다.

다만, 모든 실험적인 시도가 대중의 즉각적인 지지를 얻는 것은 아니다. 익숙함을 벗어난 디자인이 신선함으로 자리 잡을지, 혹은 낯섦으로 남을지는 실제 차량이 공개된 이후 판가름 날 전망이다.

점점 베일을 벗기 시작한 신형 아반떼의 파격이 시장에서 어떤 평가를 받게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