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도 전기차 국비 보조금 공개
최대 보조금 받는 모델은 기아 EV6
수입 전기차는 국산 대비 낮은 수준

환경부가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을 통해 2025년도 전기차 차종별 국비 보조금을 공개했다.
전기차 수요 증가와 정부의 단계적 보조금 감축 기조에 따라 전년 대비 전반적으로 보조금이 감소했으며, 배터리 성능과 효율에 따라 보조금이 차등 지급되면서 차종별 지원 금액의 격차도 크게 벌어졌다.
국산차, 최대 보조금 580만 원으로 축소

올해 전기차 국비 보조금의 최대 수혜자는 기아의 ‘더 뉴 EV6 롱레인지 2WD 19인치’ 모델이다. 이 모델은 580만 원의 보조금을 받게 되는데, 이는 지난해 충전 인프라 보조금을 제외한 630만 원에서 50만 원(8%) 감소한 금액이다.
주목할 점은 같은 EV6 시리즈 내에서도 세부 모델별로 보조금 차이가 크게 나타난다는 것이다. GT 모델은 232만 원, 스탠다드 모델은 511만 원의 보조금을 받게 됐으며, 같은 차종이라도 트림에 따라 최대 348만 원의 차이가 발생한다.
현대차의 대표 전기차 라인업도 보조금 감소폭이 상당하다. 아이오닉6 롱레인지 2WD 18인치 모델은 575만 원의 보조금을 받게 됐는데, 이는 지난해 기본 보조금 650만 원에 제조사 할인 인센티브까지 더해 최대 746만 원을 받을 수 있었던 것과 비교하면 171만 원이나 감소한 금액이다.

이와 함께, 더 뉴 아이오닉5 2WD 롱레인지 19인치 모델 역시 지난해 650만 원에서 73만 원이 줄어든 577만 원으로 책정됐다.
이 외에도 현대차의 소형 전기차 캐스퍼 일렉트릭은 500만 원, 코나 일렉트릭은 447만 원~524만 원의 보조금을 받게 된다. 기아의 경우 EV3는 479만 원~565만 원, EV9는 257만 원~275만 원, 니로 EV는 499만 원의 보조금이 책정됐다.
배터리 성능이 보조금 좌우… 수입차 지원 대폭 축소

환경부는 배터리 성능과 효율이 좋은 전기차에 더 많은 보조금을 지급하는 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있다.
현대차와 기아는 LFP(리튬·인산·철) 배터리보다 주행거리가 30% 가량 긴 NCM(니켈·코발트·망간) 배터리를 장착해 더 많은 보조금을 받게 됐다.
실제로 아이오닉6의 최대 주행거리는 544km, 더 뉴 아이오닉5는 467km로 환경부의 성능 기준인 440km를 모두 충족했다.

반면 수입차들의 보조금은 큰 폭으로 삭감됐다. 국내 시장에서 가장 높은 판매량을 기록하고 있는 테슬라의 경우, 모델Y 후륜구동(RWD) 모델은 지난해 211만 원에서 42만 원(20%)이 줄어든 169만 원을 받게 됐다.
여기에, 모델3 RWD도 지난해 226만 원보다 43만 원(19%) 감소한 183만 원의 보조금이 책정됐다. 다른 수입차 브랜드들도 예외는 아니어서 BMW 154만 원~189만 원, 아우디 131만 원~132만 원, 폭스바겐 215만 원~422만 원으로 국산차 대비 낮은 수준의 보조금을 받게 됐다.
다양한 추가 혜택으로 실구매가 낮출 기회

정부는 올해 청년이 생애 첫 차로 전기차를 구매할 경우 국비 보조금의 20%를 추가로 지원받을 수 있으며, 다자녀 가구는 자녀 수에 따라 2자녀 100만 원, 3자녀 200만 원, 4자녀 이상 300만 원까지 추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등 다양한 추가 지원책을 마련해 전기차 구매 부담을 낮출 계획이다.
또한, 차상위 계층 이하 구매자 역시 국비 보조금의 20%를 추가로 받을 수 있으며, 택시용 전기차는 250만 원의 추가 보조금이 지급된다.
특히, 올해는 제조사의 가격 할인에 비례한 정부 인센티브가 새롭게 도입되는데, 기본 가격이 5,300만 원 미만인 차량에 대해 제조사가 할인을 실시하면 그 할인액의 20~40%를 정부가 추가로 지원하는 방식이다.

소비자들은 이러한 국비 보조금에 지자체별 보조금과 각종 인센티브를 더한 금액을 최종적으로 지원받게 되는데, 구체적인 지자체 보조금 지급 계획은 다음 달 초에 공개될 예정이다.
한편, 환경부는 이러한 세부 정보를 무공해차 통합누리집을 통해 실시간으로 제공할 계획이며, 소비자들은 이를 통해 본인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상세히 확인하고 구매 결정에 참고할 수 있다.

특히, 올해 전기차 구매를 고려하는 소비자라면 차종별 보조금과 함께 다양한 추가 지원 제도를 꼼꼼히 살펴보는 것이 실구매가를 낮추는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