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대만 내부에서 중국 위협 과장 주장
- 중국 미사일 전력 실질적 위협 감소
- 대만 봉쇄 작전 실현성 낮음
대만 내부에서는 중국의 대만 침공 위협이 과장되었다는 분석이 있다.
- 중국의 미사일 전력이 과장되었다고 주장
- 대만에 실질적 위협이 되는 미사일 수량 감소
- 중국의 대만 봉쇄 전략도 비현실적
대만 국립 타이베이대 연구진은 중국의 대만 침공 위협이 과장되었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중국의 미사일 전력 중 실질적 위협이 되는 수량이 줄어든다고 분석했다.
- 중국이 가진 탄도 미사일 중 대만에 위협이 되는 것은 1,500발 내외로 추정
- 지대지 미사일 발사에 필요한 인프라 부족
- 대만 봉쇄 작전은 현실적으로 비현실적
중국의 위협이 과장되었다 주장
미사일 전력으로 대만 마비 불가
대만 봉쇄 여부도 비현실적 지적

미국을 비롯한 세계 각국이 중국의 대만 침공을 우려하고 있지만 대만 내부에서는 중국의 위협이 과장되었다는 분석이 등장했다.
대만 국립 타이베이대 범죄학 연구소 선보양 등은 책을 통해 대만 필패론은 중국의 의도적인 인지전의 결과라고 주장하며 중국군의 전력이 과장되어 있다고 평가했다.
미사일을 앞세운 중국의 대규모 공습

중국은 매번 열병식 때마다 DF-41을 비롯해 다수의 미사일 전력을 과시하는데 여념이 없다.
이에 중국의 한 싱크탱크는 중국군이 대만과의 전쟁을 개시하면 30분 이내에 보유한 탄도 미사일을 집중 발사해 대만 측 방공망을 무력화한다는 방안을 제시하기도 했다.
이 때문에 대만 내부에서도 중국의 미사일 전력을 위협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 상당수의 대만 측 전문가들은 수년 내에 중국이 자신들을 침공할 수 있다는 분석을 내놓으며 중국군을 경계하고 있다.
🗳 의견을 들려주세요
중국의 대만 침공 위협은 과장된 것일까?
실제 미사일 전력에 대한 반론 등장

하지만 선보양 등은 중국의 미사일 전력 중 상당수는 대만에 위협되기 어렵다고 주장한다. 우선 현재 중국이 보유한 각종 탄도 미사일은 2~3천발 규모로 추산된다.
그러나 이 중에서 근거리 타격 시 효율성이 떨어지는 대륙간 탄도 미사일 등을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대만에 위협이 되는 미사일은 1,500발 내외로 줄어든다는 것이 이들의 주장이다.
또한 지대지 미사일은 철도와 도로망이 뒷받침되어야 신속하게 배치 및 발사가 가능하지만 대만과 마주한 중국 동남연해부 대부분은 구릉과 계곡 지대여서 미사일 발사 차량이 기동 시 발각되기 쉽다는 주장도 나온다.

여기에 선보양은 중국이 한 번에 최대로 발사할 수 있는 미사일 수량은 500발 정도이며 이를 고려해 최대 규모 발사는 많아야 세 차례만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그들은 미사일의 명중률 지표인 원형 공사 오차와 다른 제약 요소를 고려할 때 중국이 미사일로 대만 군사 시설을 파괴해 마비시키는 것은 어렵다고 강조한다.
💡 중국의 미사일 전력이 대만에 위협이 된다고 보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대만 연구진은 중국의 미사일 전력이 과장되었다고 보고 있습니다.
- 현재 중국이 보유한 탄도 미사일 중 대만에 실질적 위협이 되는 것은 1,500발 내외로 줄어듭니다.
- 지대지 미사일 발사에 필요한 철도와 도로망이 중국 동남연해부에는 부족합니다.
- 중국이 한 번에 발사할 수 있는 미사일 수량은 제한적입니다.
중국의 대만 봉쇄 작전도 실현 불가능

중국의 대규모 미사일 공습과 함께 가장 많이 거론되는 대만 공격 방안은 섬나라인 대만을 봉쇄하는 방안이다. 미국을 비롯한 국내외 전문가들은 유사시 중국이 대만 해안을 봉쇄하는 전략을 구사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하지만 선보양은 이 역시 충분한 검토없이 만들어진 루머라 지적했다. 해상 봉쇄를 위해서는 망망대해를 오가는 수많은 선박의 경로를 추적하고 관리해야 하지만 현실적이지 않다는 주장이다.
이 밖에도 선보양은 중국이 공수부대를 활용해 도시에 잠입 후 주요 인물을 암살할 수 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타이베이 도심에 공수부대원들이 동시 낙하할 만한 공간이 없다는 이유 등을 들어 성공 확률이 낮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매년 중국의 대만 침공을 경고하는 분석이 계속해서 등장하는 만큼 이러한 분석이 들어맞을 것인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