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수료 정책 변경으로 소상공인 부담 완화
차별적 수수료, 이중 가격제 등 문제점 지적도

“수수료가 줄어들면 배달비도 저렴해질 거 같아 기대되네요“
지난 22일 배달의민족이 새로운 요금제를 시행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요금제 변동으로 인해 소상공인과 소비자 부담이 낮아질 거라는 기대를 모으고 있다.
배달의민족의 새로운 수수료 정책, 소상공인 부담 줄인다

이번 개편으로 중개 수수료는 매출에 따라 기존 9.8%에서 2.0%∼7.8%로 차등적으로 낮아진다.
배달 매출 하위 20% 업주는 2%의 수수료가 적용되며, 매출 상위 35~80% 업주는 6.8%로 인하돼 운영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매출 상위 35% 이내 업주는 주문 금액이 2만5000원을 넘어야 수수료 부담이 줄어들고, 그렇지 않을 경우 오히려 비용이 늘어날 수 있다고 밝혔다.
배달의민족 관계자는 “이번 상생 요금제는 영세 소상공인들의 어려움을 덜기 위해 마련된 것”이라며 설명했다.
프랜차이즈 업계의 반발과 한계

하지만 상생안에 대해 일부 프랜차이즈 업계와 자영업자들은 강한 반발을 표하고 있다. 매출 상위 점주들에게는 수수료와 배달비 부담이 오히려 늘어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프랜차이즈 업계는 “수수료 차등 책정 방식은 형평성에 어긋난다”며 배달플랫폼이 업계의 현실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실제로 매출 상위 50% 점주들은 상생안 적용 시 건당 배달비가 기존보다 200~500원 늘어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전문가들은 “수수료 상한제 도입, 차별적 수수료 금지 등의 법제화를 통해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중가격제 확산과 소비자 부담 증가

한편, 배달 수수료는 이중가격제를 확산시키는 문제점이기도 하다. 이중가격제는 배달 음식 가격을 매장보다 높게 책정하는 방식으로, 이미 많은 업체가 도입하고 있다.
이는 중개수수료와 배달비 부담을 덜기 위한 자구책이지만, 결과적으로 소비자들에게 추가 비용을 전가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일부 소비자들은 매장 가격과 배달 가격의 차이를 명확히 알지 못한 채 결제하고 있고, 배달앱에서 이를 강제하거나 감시할 수 있는 권한이 없는 것도 문제로 꼽힌다.
차별적 수수료 정책과 이중 가격제 문제점을 바로잡지 못한다면 배달플랫폼 상생안이 진정한 의미의 상생으로 자리 잡지 못할 거라는 우려 섞인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상생하는척 생색 내는거임.영업하위점포들 수수료 깍아줫줘봤자 얼마안되는 금액임. 어차피 몇건 안되거든.근데 영업상위 점포 수수료 깍아줬다간 지네 수익이 확 줄어들수있으니 영세 업자 도와주는척 말장난
어차피 노출안되서 광고써야하는데 상생은 무슨
우가클 통합할인 안하면 가게 보이지도 않는데
에초에 무료배달 없을때와 무료배달 시행후 마진은
상생으로 2~3프로 줄어든다고해도 마진 차이 미친듯이 나요
치킨은 50만원 팔아도 마이너스
수수료 내리라고 회의시켜놨더니 수수료 올라가고 질했다고 난리네
이걸 상생안이라고..배달장사는 이제 끝났음
기본단가 5000원 책정해라
오픈리스트 10개로 늘어난거부터도 개망함
더 이상 속지 말자 꼼수 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