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억 원 이상 수입차 시장 첫 감소
법인차 규제와 경기 침체 영향
제네시스 소비자 일부 흡수

“제네시스가 수입차 대체할 날이 오네.”, “벤틀리가 반토막? 진짜 경기 안 좋은가 보다.”
8년간 성장하던 1억 원 이상 고가 수입차 시장이 지난해 처음으로 꺾였다. 경기 침체와 연두색 번호판 도입 등 법인차 규제 강화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며, 일부 소비자는 국산 프리미엄 브랜드로 눈을 돌린 것으로 분석된다.
1억 원 이상 수입차, 8년 만에 첫 감소
한국수입자동차협회(KAIDA)에 따르면 2024년 1억 원 이상 수입차 판매량은 6만2520대로, 전년(7만8208대) 대비 20.1% 감소했다.
1억 원 이상 수입차 판매가 전년 대비 줄어든 것은 2016년 이후 처음이다. 전체 수입차 시장에서 고가 차량이 차지하는 비중도 줄었다. 2022년 28.9%였던 1억 원 이상 수입차의 비중은 지난해 23.7%로 떨어졌다.

브랜드별 판매량을 보면 BMW가 2만4543대를 기록하며 1위를 차지했고, 메르세데스-벤츠(1만9529대), 포르쉐(8254대)가 뒤를 이었다.
특히 3억 원 이상 초고가 브랜드인 벤틀리는 판매량이 50.6% 감소하며 큰 타격을 입었다. 2023년 810대였던 판매량이 지난해 400대로 급감했다.
연두색 번호판, 법인차 구매 위축시켰다
전문가들은 경기 불확실성과 함께 지난해부터 시행된 연두색 번호판 제도가 법인 고객들의 구매 심리를 위축시킨 핵심 요인이라고 보고 있다.
자동차 업계에서는 “법인 명의로 등록된 8000만 원 이상 차량에는 연두색 번호판을 부착해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행정적 번거로움과 추가 비용 부담이 발생해 법인 고객들의 구매가 줄어들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를 피하려고 차량 취득가를 실제보다 낮춰 신고하는 꼼수 법인차 사례도 나오고 있어 국토교통부가 조사에 나섰다”고 덧붙였다.
수입차 대신 제네시스? 소비자 이동 가속화
이와 함께 일부 소비자들이 국산 프리미엄 브랜드로 이동하면서 제네시스가 일정 부분 수입차 시장을 잠식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업계 관계자는 “제네시스 품질과 브랜드 가치가 높아지며 일부 수입차 소비층이 국산차로 이동하고 있다”며 “유지·보수 비용이 적은 점도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올해도 경기 침체, 법인차 규제, 전기차 전환기 등의 영향으로 1억 원 이상 수입차 시장이 어려울 전망이다. 다만, 일부 브랜드가 하이브리드·전기차 라인업을 강화하며 반등 가능성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앞으로 수입차 시장이 규제와 경기 침체 속에서 어떻게 변화할지, 그리고 국산 프리미엄 브랜드가 그 공백을 얼마나 메울 수 있을지 주목된다.
제네시스.넘비싸다. 가격대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