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시장 침체에 하이브리드로 ‘전환’… 1,094km 꿈의 주행거리 선보인다

로터스 슈퍼 하이브리드 도입 예고
주행거리 대폭 늘리는 새로운 방식
내연기관을 재활용 하기 위한 방향
Lotus Super Hybrid System Preview
에미라 (출처-로터스)

로터스의 CEO 펑칭펑(Feng Qingfeng)은 중국 광저우 모터쇼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기술을 기반으로 한 ‘슈퍼 하이브리드(Super Hybrid)’ 파워트레인을 도입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슈퍼 하이브리드(Super Hybrid)’ 파워트레인은 터보차저 가솔린 엔진과 초고속 충전을 지원하는 900볼트 전기 아키텍처를 결합해, 배터리를 충전하며 주행거리를 대폭 늘리는 방식을 채택할 계획이다.

내연기관과 전기 파워트레인의 새로운 조합

Lotus Super Hybrid System Preview (2)
에메야 (출처-로터스)

로터스는 지난 몇 년간 전기차(EV) 전환에 대한 큰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브랜드의 마지막 내연기관 차량으로 발표된 스포츠카 ‘에미라(Emira)’ 이후, 로터스는 전기 SUV ‘엘레트라(Eletre)’와 세단 ‘에메야(Emeya)’를 글로벌 시장에 출시했다.

이어 중형 SUV 및 전기 스포츠카 출시 계획이 예고된 상황에서, 이번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도입은 내연기관을 다시 활용하기 위한 방향 전환으로 보인다.

펑 CEO는 “이 기술을 통해 주행 가능 거리를 680마일(약 1,094km)까지 연장할 수 있을 것”이라며 “내연기관이 배터리를 빠르게 충전하는 범위 확장형 하이브리드 시스템을 구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특히, 이 기술은 기존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보다 훨씬 높은 충전 속도를 제공할 것으로 예상된다.

Lotus Super Hybrid System Preview (3)
엘레트라 (출처-로터스)

또한, 로터스는 이번 기술이 엘레트라와 에메야 같은 기존 전기 모델뿐만 아니라, 향후 출시될 예정인 중형 SUV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가능성을 시사했다.

그러나 구체적으로 어떤 엔진이 사용될지는 언급되지 않았다. 현재 에미라 스포츠카는 메르세데스-AMG의 4기통 터보차저 엔진을 사용하고 있지만, 로터스가 새로운 엔진 기술을 개발할 가능성도 있다.

중국 시장에서의 성공과 글로벌 전략

Lotus Super Hybrid System Preview (4)
에바이야 (출처-로터스)

한편, 이번 결정은 특히 중국 시장에서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차량과 범위 확장형 기술이 급격히 인기를 끌고 있는 상황을 반영한 것으로 보인다.

로터스는 올해 판매량의 약 25%가 중국에서 발생했다고 밝혔으며, 하이브리드 모델이 이러한 흐름에 부응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펑 CEO는 “900볼트 아키텍처를 통해 ‘플래시 충전’ 기술을 도입할 계획”이라며 “배터리 교체를 기반으로 하는 중국 전기차 기업 니오(Nio)의 기술보다 더 빠른 충전 속도를 제공할 것”이라고 기술의 우위를 자신했다.

0
공유

🤖 AI에게 기사 관련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안녕하세요! 기사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으신가요? 무엇이든 물어보세요.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