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자동 요약된 내용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을 확인해주세요.
- 북한군이 러시아에 파병되어 우크라이나 공격에 참여.
- 약 1만5천 명 파병, 2천 명 전사 추정.
-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 강화.
북한군이 러시아를 통해 우크라이나에 공격적으로 개입하고 있습니다.
- 1만5천 명의 북한군이 러시아에 파병되었으며, 그 중 일부는 우크라이나 본토 공격에 가담하고 있습니다.
- 쿠르스크 탈환 작전에 이어 수미주 공략에도 북한군이 투입되었습니다.
- 북한과 러시아의 군사 협력은 강화되고 있습니다.
북한군이 러시아에 파병된 후 우크라이나 본토 공격에 참여하는 모습이 포착되었습니다.
현재 1만5천 명의 북한군이 러시아에 파병되어 있으며, 이 중 약 2천 명이 전사한 것으로 국정원은 추정하고 있습니다.
- 북한군은 초기에는 러시아의 영토 탈환을 지원하다가, 이제는 우크라이나 본토 공격에까지 가담하고 있습니다.
- 우크라이나는 북한군이 운용하던 정찰 드론에서 영상 자료를 확보하여 이를 증명하고자 합니다.
-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은 군사 기술 이전 및 협력을 강화하는 계기가 될 수 있습니다.
- 이번 사태는 우리 군 및 안보에도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습니다.
1만 명 이상 병력 파병한 북한
우크라이나 본토 공격에 투입
영상으로 포착된 북한군 모습

러시아에 파병된 북한군이 이제는 우크라이나 영토에 대한 공격까지 가담했다는 정황이 드러났다.
최근 우크라이나군 총참모부는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복 차림의 남자가 찍힌 영상을 제시하며 북한군이 자국을 공격하는 데 투입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러시아로 파병된 1만5천 명의 북한군

현재 국정원은 지난해 10월부터 북한군 전투 병력 1만5천 명이 러시아에 파병되었으며 이중 약 2천 명이 전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이렇게 파병된 북한군은 주로 쿠르스크 지역에서 러시아군의 작전을 지원했다. 쿠르스크는 원래 러시아 측 영토였으나 지난해 우크라이나가 전격적인 반격 작전으로 쿠르스크주를 침공해 다수의 영토를 점령하였다.
그러나 러시아는 쿠르스크주 탈환을 위해 대규모의 북한군을 전선으로 투입했으며 이를 통해 올해 5월을 기점으로 쿠르스크에서 우크라이나군을 모두 밀어낸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러시아는 현재 쿠르스크와 국경을 맞댄 수미주를 역공하고 있으며 이러한 수미주 공략에도 북한군이 투입된 것으로 보인다.
💡 북한군이 우크라이나 공격에 가담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북한군이 우크라이나 공격에 가담한 이유는 러시아와의 군사적 협력 강화 때문입니다.
- 북한은 러시아와의 관계를 통해 군사 기술을 이전받고 있습니다.
- 러시아는 병력 손실을 보완하고 우크라이나 영토를 탈환하기 위해 북한군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영상에 포착된 북한군 추정 인물

우크라이나는 북한군으로 추정되는 군복 차림의 영상을 공개하며 북한이 우크라이나 공격에 가담하고 있다는 주장을 내세운다.
또한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군이 심각한 병력 손실과 수미주 공세 실패를 만회하기 위해 북한군을 전투 작전에 계속 투입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우크라이나 현지 매체 키이우 인디펜던트에 따르면 이번 영상은 북한군이 운용하다가 격추된 정찰 드론에서 확보한 것으로 추정되며, 러시아와 북한은 쿠르스크 일대에서 정찰 드론을 날려 우크라이나 수미주 일대의 군사 진지를 식별하고 포격 조정을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우크라이나 본토마저 북한군이 공격

이처럼 수미주를 향한 러시아의 공세 작전에 북한군이 투입된다면 이는 기존의 파병과는 다른 문제를 불러올 수 있다. 지금까지 러시아는 북한으로부터 병력을 지원받으면서도 이들의 임무는 어디까지나 우크라이나에 빼앗긴 자신들의 영토 탈환을 지원하는 것이라 주장했다.
그러나 수미주는 본래 우크라이나의 영토였으며 이곳을 공격한다는 것은 북한군이 침략 전쟁에 본격적으로 개입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기에 북한은 이미 쿠르스크주를 탈환하는 데 많은 영향을 미치며 러시아가 함부로 무시할 수 없는 입지를 구축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이러한 상황에서 북한이 우크라이나 공격에까지 큰 영향을 미친다면 러시아를 통한 군사 기술 이전이나 또 다른 협력을 진행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될 수 있다.
이미 북한은 쿠르스크 탈환을 통해 다수의 군사 기술을 이전받고 있는 만큼 북한과 러시아의 밀착이 강화될 수 있는 이번 상황은 우리 군의 안보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