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차 나오자마자 ‘대박’…죽어가던 전기차 시장 살린 ‘구세주’ 모델들

전기차 판매 ‘사상 최대’… 신차 5대 중 1대는 EV
친환경차 내수 점유율 55%로 내연차 첫 역전
트럼프發 관세 여파 속에도 수출 증가세 ‘굳건’
전기차 충전소
전기차 충전소 / 출처 : 연합뉴스

수요 침체로 어려움을 겪던 국내 전기차 시장이 7월 들어 극적인 반등에 성공했다.

한 달 동안 판매된 전기차는 총 2만5148대로, 월간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에 따라 친환경차는 내연기관차를 앞서며 자동차 시장의 새로운 주류로 자리 잡았다.

전기차, 침체 끝내고 3개월 연속 2만대 돌파

현대차 아이오닉9
아이오닉9 / 출처 : 현대차

산업통상자원부가 19일 발표한 ‘7월 자동차산업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자동차 판매량은 전년 동기 대비 4.6% 증가한 13만8503대를 기록했다.

이 가운데 전기차 판매는 전년 대비 67.0% 급증하며 월간 기준 사상 최대치를 달성했다. 전체 신차 중 전기차 비중은 16.7%로, 국내에서 판매된 신차 6대 중 1대꼴로 전기차였다는 의미다.

전기차 시장은 2022년 9월 월 2만대 판매를 처음 돌파한 이후, 캐즘(Casm) 현상으로 약 14개월간 침체를 겪었다. 그러나 올해 5월 다시 2만대를 넘긴 뒤 3개월 연속 2만대 이상 판매고를 올리며 본격적인 회복세에 들어섰다.

회복의 주요 요인은 신차 출시다. 현대차의 대형 전기 SUV ‘아이오닉9’, 기아의 전기 세단 ‘EV4’, 테슬라의 ‘모델Y’ 개선 모델 등 다양한 신차가 출시되며 소비자 선택 폭이 넓어졌다.

친환경차 내연기관차 추월, 시장 판도 바꿨다

7월 자동차 내수판매 현황
7월 자동차 내수판매 현황 / 출처 : 조선일보

친환경차 전체 판매량 증가세는 더욱 뚜렷하다. 7월 친환경차 판매는 7만6639대로 전체 내수 시장의 55.3%를 차지했다.

이는 2005년 ‘친환경자동차 개발 및 보급 촉진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내연기관차를 앞섰던 지난 5월(52%)에 이어 또다시 기록을 경신한 것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내수 시장에서 친환경차로의 전환이 대세로 자리 잡은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수소차도 현대차 ‘넥쏘’ 신형 출시 효과로 1045대가 판매되며 전년 대비 161.3% 급증했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 역시 꾸준한 증가세를 보이며 친환경차 전환 흐름을 뒷받침하고 있다.

미국은 주춤, 유럽은 급등… 수출 흐름은 ‘상승’

7월 친환경차, 전기차 내수판매량 및 수출량
7월 친환경차, 전기차 내수판매량 및 수출량 / 출처 : 세계일보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의 25% 자동차 관세 부과에도 불구하고, 한국 자동차 수출은 오히려 성장세를 이어갔다. 7월 자동차 수출액은 58억3200만 달러로, 전년 대비 8.8% 증가했다.

미국 수출은 4.6% 감소했지만, 독일·스웨덴·튀르키예 등을 중심으로 유럽 수출이 큰 폭으로 늘며 감소분을 충분히 상쇄했다. EU와 기타 유럽 시장 모두 두 자릿수 이상 증가율을 보였고, 전반적으로 유럽 수출이 전체 실적을 견인한 셈이다.

친환경차 수출도 6만8129대로 17.0% 늘었다. 전기차는 두 달 연속 2만대 이상 수출됐으나, 보급형 모델 비중이 확대되면서 수출액은 오히려 4.1% 감소했다.

정부는 한미 자동차 부품 관세 협상이 15% 수준에서 타결된 만큼, 대미 수출 환경도 점차 안정될 것으로 보고 있다. 국내 시장은 물론, 글로벌 무대에서도 전기차를 중심으로 한 친환경차의 영향력이 확대되고 있다.

Copyright ⓒ 더위드카.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