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보다 더 오래 일하는 한국 고령층
평생 경력 끊기고, 재취업은 단순노무직
고용률 1위 뒤엔 ‘저임금·비정규직’ 현실

세계에서 가장 많은 노인이 일터로 향하는 나라가 있다. 바로 대한민국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발표한 2023년 통계는 충격적이다. 한국의 65세 이상 고용률이 37.3%로 회원국 중 1위를 기록했다.
이는 고령사회의 대명사인 일본(25.3%)보다 무려 12%포인트나 높은 수치다.
“노후가 아니라 생존이다”…연금만으론 못 버티는 나라
노인들이 일터를 떠나지 못하는 이유는 명확하다. 연금만으로는 살 수 없기 때문이다.

한국의 65세 이상 연금 수령액은 월평균 80만원에 불과하다. 반면 1인 가구가 최소한의 생활을 유지하려면 134만원이 필요하다. 매달 54만원이 모자란다.
이는 마치 200만원 월급으로 300만원짜리 아파트 월세를 내야 하는 상황과 같다.
결국 은퇴는 꿈이 되고, 일은 선택이 아닌 필수가 된다. 고용률 1위라는 타이틀 뒤에는 이런 씁쓸한 현실이 자리한다.
“30년 경력도 소용없다”…노인 일자리는 경비·청소뿐
더 안타깝게도 이들이 찾는 일자리의 품질은 형편없다.

고령 근로자 10명 중 6명(61%)은 비정규직이다. 절반 가까이는 직원 수 10명도 안 되는 영세 사업장에서 일한다. 대부분 단순 노무직이나 기계 조작 같은 육체노동에 매달린다.
가장 큰 문제는 ‘경력 단절’이다. 수십 년간 쌓아온 전문성과 경험이 하루아침에 무용지물이 된다.
실제로 65세 이상 재취업자 중 53%가 “지금 일은 예전 일과 전혀 관련 없다”고 답했다. 30년 경력의 회계사가 아파트 경비원이 되고, 베테랑 교사가 청소 노동자가 되는 일이 일상이다.
“일은 더 오래, 월급은 더 적게”…노인 재취업의 역설
경력 파괴는 곧 임금 하락으로 이어진다. 정년 직전 50대 후반의 평균 월급은 350만원이다.

하지만 은퇴 후 재취업한 60대 초반은 280만원대로 떨어진다. 20%가량 줄어드는 셈이다. 나이 든다는 이유로 임금이 깎이고, 일자리 질도 떨어진다. 고용률이 높다고 해서 삶이 나아지는 것은 아니다.
“일하는 노인은 늘지만, 행복한 노인은 줄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 문제의 핵심을 ‘구조적 경력 단절’이라고 진단한다.
주된 일자리에서 퇴직한 뒤 전혀 다른 업종으로만 재취업이 이뤄지는 현실을 말한다. 이는 개인의 불행을 넘어 사회 전체의 인재 낭비다. 축적된 지식과 경험이 사라지고, 노동 시장의 효율성도 떨어진다.
지금처럼 은퇴와 동시에 저임금 노동으로 내몰리는 구조가 계속된다면, 일하는 노인은 늘어도 행복한 노인은 줄어들 수밖에 없다.
새끼들에게 다퍼주다보니 저렇게 됨
잘못쓴 기사 같습니다.
교직에 계셨던분은 연금이 적지않을 터인데요. 또한 회계사가 전문직으로 생활비는 충분하리라 봅니다.
나이 적당이 먹으면 하나님 품으로 가세요 택시 몰면서 젊은 사람들 차로 깔아 죽이지 말고요